
청주시, 2022년 3분기 수출 66억 6700만 달러 달성
- 3분기 무역수지 53억 8천600만달러 흑자 -
청주시 수출액이 반도체 등 수출수요 둔화로 수출액이 감소했으나 기타정밀화확원료의 강한 상승세에 힘입어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무역수지 흑자를 달성했다.
2일 청주시가 한국무역협회 수출입 통계를 토대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시의 2022년 3분기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0.7% 증가한 66억 6700만 달러, 수입은 9.9% 증가한 12억 8천만 달러로 53억 8천600만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달성했다.
주요 수출품목별로 살펴보면, 반도체(35.8%), 기타정밀화학원료(19.9%), 이차전지(11.4%), 전산기록매체(SSD)(7.9%), 의약품(4.2%) 순으로 수출이 많이 이뤄졌다.
특히 수출 효자분야였던 반도체분야가 수요 둔화로 인해 3분기 반도체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5.8%, 메모리반도체는 –0.8%로 감소를 보였으나, 기타정밀화학원료·이차전지 수출은 친환경차 정책 기조 강화에 따른 수출호조가 지속돼 각각 전년동기대비 189.8%, 40.4%의 증가세를 보였다.
국가별 수출은 중국(25억 3천500만 달러), 미국(11억 600만 달러), 홍콩(6억 1천600만 달러), 폴란드(4억 5천700만 달러), 일본(4억 1천400만 달러) 순이었다. 특히, 일본(130.3%), 헝가리(312.8%)로의 수출이 상당 증가했는데, 일본의 코로나19 확산세에 따른 의약품 수요 증가와 헝가리로의 정밀화학원료 수출 증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시 관계자는 “청주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 등에서 수출이 감소했으나 기타정밀화학원료와 2차전지 등이 강하게 증가하며 청주의 수출을 이끈 것으로 보인다”며 “우리 시는 기업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중소수출기업에 도움이 되는 수출지원사업 추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참고1】청주시 품목별 수출현황(‘22.7.~9. 누계) |
[자료출처 : 한국무역협회(KITA)]
(단위 : 백만달러, %)
|
연번 |
품목명 |
수출액 |
비중(%) |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비고 |
||
|
계 |
6,667 |
100 |
10.7 |
|
|||
|
1 |
전자전기제품 |
|
3,986 |
59.79 |
2.1 |
|
|
|
반도체 |
|
2,386 |
35.79 |
-5.8 |
|
||
|
메모리 |
1,995 |
29.92 |
-0.8 |
|
|||
|
이차전지 |
758 |
11.37 |
40.4 |
|
|||
|
전산기록매체(SSD) |
526 |
7.89 |
0.5 |
|
|||
|
2 |
화학공업제품 |
|
1,861 |
27.91 |
66.3 |
|
|
|
기타정밀화학원료 |
1,324 |
19.86 |
189.8 |
|
|||
|
의약품 |
315 |
4.72 |
-18.1 |
|
|||
|
화장품 |
48 |
0.72 |
88.6 |
|
|||
|
3 |
기계류 |
|
360 |
5.4 |
-27.7 |
|
|
|
광학기기 |
155 |
2.32 |
-45.4 |
|
|||
|
4 |
플라스틱‧ 고무‧가죽 |
|
238 |
3.57 |
-22.0 |
|
|
|
플라스틱 |
225 |
3.37 |
-24.4 |
|
|||
|
5 |
농림수산물 |
82 |
1.23 |
11.4 |
|
||
|
6 |
철강금속제품 |
71 |
1.06 |
15.8 |
|
||
|
7 |
생활용품 |
42 |
0.63 |
26.3 |
|
||
|
8 |
섬유류 |
13 |
0.19 |
-2.5 |
|
||
|
9 |
잡제품 |
|
13 |
0.19 |
15.6 |
|
|
|
기타의료위생용품 |
12 |
0.18 |
14.0 |
|
|||
|
10 |
광산물 |
1 |
0.01 |
-58.0 |
|
||
|
【참고2】청주시 주요 수출국(‘22.7.~9. 누계) |
[자료출처 : 한국무역협회(KITA)]
(단위 : 백만달러, %)
|
연번 |
수출대상국가 |
2022년 수출액 |
2021년 수출액 |
전년대비 증감률(%) |
비 고 (주요증감사유,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
총 계 |
6,667 |
6,021 |
10.7 |
|
|
|
1 |
중국 |
2,535 |
1,767 |
43.5 |
|
|
2 |
미국 |
1,106 |
663 |
66.8 |
|
|
3 |
홍콩 |
616 |
1,474 |
78.2 |
|
|
4 |
폴란드 |
457 |
295 |
55.2 |
|
|
5 |
일본 |
414 |
180 |
130.3 |
의약품 9,810.9% 증 정밀화학원료 81.7% 증 |
|
6 |
독일 |
228 |
145 |
56.9 |
|
|
7 |
베트남 |
216 |
437 |
-50.7 |
|
|
8 |
헝가리 |
182 |
44 |
312.8 |
정밀화학원료 511.6% 증 |
|
9 |
대만 |
152 |
294 |
-48.1 |
|
|
10 |
말레이시아 |
125 |
52 |
143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