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8 (토)

  • 맑음동두천 -3.6℃
  • 맑음강릉 -0.6℃
  • 맑음서울 -3.2℃
  • 맑음대전 -1.5℃
  • 맑음대구 0.3℃
  • 맑음울산 0.5℃
  • 광주 0.0℃
  • 맑음부산 1.7℃
  • 구름조금고창 -2.1℃
  • 제주 5.2℃
  • 맑음강화 -2.3℃
  • 구름많음보은 -2.7℃
  • 구름조금금산 -1.7℃
  • 구름조금강진군 2.6℃
  • 맑음경주시 0.9℃
  • 구름조금거제 2.7℃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충북교육청, 코로나19로부터의 교육회복, 더 나은 교육으로의 도약을 위한 충북교육회복종합 방안 발표 외 (8월30일 종합)

[8월 30일 보도자료]
 1. 코로나19로부터의 교육회복, 더 나은 교육으로의 도약을 위한
   충북교육회복종합 방안 발표
 2. 충북교육청, 3,149억원 증액한 추경예산안 편성

 


코로나19로부터의 교육회복, 더 나은 교육으로의 도약을 위한 충북교육회복종합 방안 발표

 

◈ 모든 학생의 교육회복을 위해, 2022년까지 집중·총력 지원
 - 올해 하반기 교육회복 지원을 위한 추경 증액분 856억원 집행 예정
 - 2022년 교육회복 지원 예산 1,328억원 편성 예정
 - 학습, 심리·정서 등 결손을 종합 지원하여 모든 학생의 교육회복

◈ 「충북교육회복 종합방안」 기본계획 주요내용
❶ (개요)
   - 추진 시기: 2021. 9.~2023. 2.
   - 추진 과제

영역

과제 수()

예산액/단위:천원

2021.2

2022

결손 회복

30

37,680,502

50,492,549

맞춤형 지원

20

8,905,665

7,379,950

교육여건 개선

19

39,022,260

75,009,657

합계

69

85,608,427

132,882,156

   - 기존 업무와 연계 과제: 27개 / 확대 운영 과제: 5개
     / 신규 27개 과제(※신규‧특색 7개 포함), 특색 10개 과제
❷ (5대 핵심 추진 과제)
   - Ⅰ-2-1. 교과보충 집중프로그램 「더 배움학교」 운영 확대(2추: 960,000천원)
       · 2021. 9.∼12. : 초, 중, 일반고 학생의 4%, 6,000여명
       · 2022. 1.∼12. : 초, 중, 일반고 학생의 20%, 30,000여명
   - Ⅰ-2-2. 2학기 수강료 지원을 통한 「미래 희망 더하기 방과후학교 운영」(2추: 11,170,085천원)
       · 신청학교 330교(전체 학교의 70%), 미신청학교(30%)는 농산촌방과후학교 지원, 도시지역 방과후학교 활성화 지원, 지자체 지원, 학교 자체 예산 확보 등을 전액 지원함
   - Ⅰ-2-4. 고교생 맞춤형 학습컨설팅 운영(2추: 169,100천원)
       · 학생대상 「자기주도적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 교사대상 「교실 속 학습유형별, 학습전략별 학습코칭」역량 강화
   - Ⅰ-4-1. 충북교육회복지원금 지원(2추: 16,985,800천원)
       · 도내 국·공·사립 초·중·고·특수·각종학교 학생 및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고등학교 169,858명
       · 가정 내 교육활동 경비 지원(학습교재, 도서, 인터넷 강의, 문화예술 공연, 가족단위 체험활동 등)
   - Ⅰ-3-2. 위(WEE)센터 ‘대면상담자문지원’을 통한 자문·치료 및 상담 연계(2추: 131,440천원)
       · 고위기 학생의 심리치료 자문 및 의료기관 연계 치료비 지원 등


□ 충북교육청은 8월 30일(화) 코로나19로 인한 학생들의 결손을 극복하고 더 나은 교육으로 도약하기 위한 ‘충북교육회복종합방안(이하 종합방안)’ 추진 계획을 발표하였다.
□ ‘종합방안’은 「더 깊은 교육결손회복, 더 가까운 맞춤형 지원, 더 넓은 교육여건 개선」이라는 비전의 실현을 위해 학생의 학습, 심리·정서 등을 종합 지원함으로써 모든 학생의 교육회복을 꾀하고 나아가 미래교육으로 도약한다는 취지를 담고 있다.
□ 충북교육청은 ‘교육회복종합방안’ 추진 예산은 총 2,184억원이며, 2021년 하반기부터 856억원(도의회 심의 예정)과 2022년 1,328억원이 소요될 예정이다.
□ ‘종합방안’은 ▲교육결손회복 ▲맞춤형 지원 ▲교육여건의 세 분야 총 69개의 과제이며, 이중 37개(54%) 과제는 신규·특색 사업으로 구성되었다.

□ 주요 과제별 내용을 살펴보면,
   ▲‘교육결손회복’은 30개 세부과제에 377억원(2021년 2추)의 예산이 편성되어, 학생들의 학습·심리·건강 상태에 대한 진단부터 맞춤형 교육활동을 지원하게된다.
   이를 위해 기초학력보장지원센터 신설, 충북교육회복지원금 지원, 2021년 2학기 방과후학교 수강료 지원, 학생 심리치료 지원 사업 등이 추진될 예정이다.
   ▲‘맞춤형 지원’은 20개 세부과제, 89억원(2021년 2추)의 예산을 통해 유아교육, 직업계고 취업, 다문화·장애학생 등 교육적 취약 계층을 지원하게 된다.
    ‘맞춤형 지원’의 세부과제로는 유치원 방과후 놀이 쉼터, 직업계고 취업 활성화를 위한 자격 취득 지원과 취업 혁신지구 확대, 장애학생 취업지원과 취약계층 학생 현물지원, 행복교육지구를 통한 취약계층 지원 등의 사업이 추진된다.
   ▲‘교육여건 개선’은 19개 세부과제, 390억원(2021년 2추)의 예산으로 과대·과밀학급 해소, 교직원 회복, 미래교육 혁신을 통한 교육회복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게 된다.
   특히 도교육청은 과대·과밀학급 해소를 위해 청주지역 중학교의 경우 2022년 신입생부터 학급당 배정인원을 28명 이하로 변경하여 운영한다.
   또한 특별교실 전용과 개조를 통해 2022년 7개 초등학교 18실을 확보하고, 교실 증축 및 모듈러 교실 설치를 통해 2개교 38실이 증설된다.
   도교육청은 2025년까지 전용·개조를 통해 43개교에 69실, 교실 증축 및 모듈러 교실 설치를 통해 10개교 127실을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 도교육청은 교육회복의 실현 가능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정책과 연계·확대하며, 선택과 집중의 학교 지원을 위해 특색·신규사업을 발굴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 김병우 충청북도교육감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충북의 학생들이 잃어버린 것들을 꼼꼼하게 점검하고 지원하는 따뜻한 학교가 될 수 있도록 교육공동체의 요구에 민감하게 깨어 있는 교육정책을 펼치겠다”라고 강조하였다.


요약 

충북 교육회복 종합 방안(안)


추진과제 1
【결손회복】
1-1
학습진단확대
◦단위학교 자율적 진단(확대)
학교혁신과
(초등교육팀, 중등교육팀)
1-2 심리·정서진단특색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 실시
◦심리적 자가진단 시스템 운영(특색)
◦위(Wee)클래스 운영
학교자치과
(생활교육팀, 마음건강증진센터)
1-3
건강진단신규특색
◦앱 활용 건강체력(신규)
  증진 운영
체육건강안전과
(체육교육팀)
◦저체력 학생 건강(특색)
  체력교실 운영
체육건강안전과
(체육교육팀)
1-4
코로나19 대응
중장기 종단 조사신규
◦학생성장 및 적응(신규)
  체제 구축 지원 사업
학교혁신과
(초등교육팀)
2-1
교과보충 집중 프로그램확대
◦더 배움학교 운영 확대(확대)
학교혁신과
(초등교육팀, 중등교육팀)
2-2
방과후학교 2학기 수강료 지원신규
◦방과후학교 2학기
  수강료 지원(신규)
 -다양한 특기적성 프로그램 운영
 -교과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유아특수복지과
(학생복지팀)
2-3
대학생 튜터링신규
◦대학생 튜터링 운영(신규)
학교혁신과
(초등교육팀, 중등교육팀)
2-4
학습컨설팅신규
◦자기주도 학습역량 강화    학습코칭 적용
◦학생주도 진로학업 설계 지원(신규)
◦예비 고1을 위한 진로    학업설계 컨설팅(신규)
◦진학지원 상담팀 운영(확대)
학교혁신과
(교육과정지원팀)
2-5
협력수업확대
◦수업협력강사제 운영(확대)
학교혁신과
(초등교육팀)
2-6
자유학년제-
전환기, 더 깊은 배움을 위한 징검다리신규특색
◦Pre-자유학기년제(신규, 특색)
◦Post-자유학기년제(신규, 특색)
◦자유학년제 연계 사회성 함양 프로그램 집중지원
학교혁신과
(혁신교육팀)
2-7
모든 학생의 성장을 돕는 고교학점제 운영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운영
◦고교학점제 도입 기반 마련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및 인프라 구축 확대
◦고교학습치유지원 선도고교 운영
학교혁신과
(교육과정지원팀)
2-8
교육력도약
프로젝트
◦교육력 도약 컨설팅
◦교육력 도약 프로젝트 운영
◦우수 프로그램 공유
학교혁신과
(교육과정지원팀)
2-9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역량 강화 프로젝트
◦교육지원청 혼합수업 지원단 양성(권역별 구성)
◦학교로 찾아가는 교과별 혼합수업 컨설팅 실시(1교 1교과 또는 1주제)
학교혁신과
(교육과정지원팀)
2-10
진로교육
◦원격 영상 진로교육 콘텐츠 제작·보급
◦중학교 3학년 학생을 위한 찾아가는 진로디자인 설명회
◦학교급 전환기 진로교육 활성화 지원
학교혁신과
(교육과정지원팀)
2-11
진학지원 프로그램
◦진학역량강화 사업
◦찾아가는 진학지원 상담팀
◦학교로 찾아가는 맞춤형 대입설명회
◦2022. 학생 맞춤형 면접 지원
학교혁신과
(교육과정지원팀)
2-12
두드림학교확대
◦두드림학교 프로그램 운영(확대)
학교혁신과
(초등교육팀, 중등교육팀)
2-13
학습종합클리닉센터확대
◦진천거점 신설(확대)
◦지역거점 전문인력 배치 조정
학교혁신과
(초등교육팀)
2-14
기초학력보장지원센터 신설신규특색
◦기초학력보장지원센터 신설(신규, 특색)
학교혁신과
(초등교육팀)
2-15
초등 기초학력
전담교사제특색
◦초등 기초학력 전담교사제 운영 확대(특색)
학교혁신과
(초등교육팀)
2-16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자료 개발 및 발간특색
◦온라인 콘텐츠 개발, 도움자료 등 발간(특색)
학교혁신과
(초등교육팀, 중등교육팀)
3-1
상담·교육특색
◦심리지원 전문성 강화(특색)
◦위(Wee)클래스 구축 및 현대화 사업
◦전담지원연계 심리치유
◦특별교육기관 연계 지원
학교자치과
(생활교육팀)
3-2
맞춤지원
◦자문, 치료 및 상담연계
◦위(Wee)닥터운영
◦가정형 위(Wee)센터 운영
◦심리회복 지원
◦정신건강전문가 학교방문 사업 운영
학교자치과
(생활교육팀, 마음건강증진센터)
3-3
또래 활동
◦또래 상담 활동
학교자치과
(생활교육팀)
3-4
현장체험학습특색
◦농촌체험학습(특색)
체육건강안전과
(학교안전팀)
3-5
놀이를 통한 관계와 사회성 회복 지원특색
◦놀이강사 및 놀이교구 지원(특색)
학교혁신과
(초등교육팀)
3-6
아웃도어 활동특색
◦충북형 성장 아웃도어 프로그램 ‘너머로’(특색)
체육건강안전과
(학교안전팀)
3-7
신체활동신규특색
◦7560+운동 선도학교 운영
체육건강안전과
(체육교육팀)
◦충청북도 학교스포츠
  클럽대회 운영
체육건강안전과
(체육교육팀)
◦충청북도학생 체육한마당잔치(신규, 특색)
체육건강안전과
(체육교육팀)
3-8
예방교육
◦보건교육자료집 개발
체육건강안전과
(보건팀)
3-9
영양·식생활관리
◦전통식문화계승사업
체육건강안전과
(급식팀)
◦영양상담교육
체육건강안전과
(급식팀)
4-1
가족연계회복신규특색
◦충북교육회복 지원금 지원(신규, 특색)
체육건강안전과
(학교안전팀)
합계: 30과제(2021. 2추: 377억)

 

추진과제 2
【맞춤형 지원】
1-1
학부모 연수, 유아 및 학부모 상담 지원
◦유아 및 학부모 상담, 연수 지원
충북유아교육진흥원
1-2
유아 발달 지원신규
◦유아 발달 지원(신규)
 (유치원 방과후 놀이쉼터)
유아특수복지과
(유아교육팀)
1-3
유아
신체건강 회복
◦놀이터 재구조화 및 놀이 환경 개선
유아특수복지과
(유아교육팀)
1-4
유치원 교원
정서 지원특색
◦관계와 사회성 회복 사업(교직원 마음회복지원)(특색)
유아특수복지과
(유아교육팀)
1-5
유치원 미래형 교육환경 조성특색
◦유치원 미래형 가상 놀이 체험 공간 구축 지원(특색)
유아특수복지과
(유아교육팀)
2-1
직업계고
원격수업지원
◦전문교과Ⅱ 실습 콘텐츠 탑재
◦NCS 학습모듈 보급용 스마트기기 지원
◦온라인 스튜디오 구축 지원
미래인재과
(직업교육팀)
2-2
직업계고
자격 취득 지원신규
◦직업계고 자격 취득 지원 확대(신규)
미래인재과
(직업교육팀)
2-3
직업계고
실습수업 보조 강사신규
◦직업계고 실습수업 보조 강사 지원(신규)
미래인재과
(직업교육팀)
2-4
직업계고
채용 연계 직무교육신규
◦직업계고 채용 연계 직무교육 참여 확대(신규)
미래인재과
(직업교육팀)
2-5
혁신지구 확대신규
◦혁신지구 확대(신규)
미래인재과
(직업교육팀)
3-1
다문화학생 맞춤형 지원특색신규
◦KSL통합교육과정 운영 확대(특색)
◦「더 배움」 한글 교실 운영(신규)
◦학교생활도우미 운영 확대
◦한글놀이터 구축·운영(신규)
◦학교생활도움자료콘텐츠제작·보급(신규)
◦다문화학생 심리·정서지원 확대
학교자치과
(민주시민교육팀)
3-2
탈북학생
맞춤형 지원
◦맞춤형 멘토링 및 심신회복지원 운영 확대
◦탈북학생 한국어교육지원 교육자료 보급
학교자치과
(민주시민교육팀)
3-3
장애학생
학습지원신규
◦장애유형별 맞춤형 학습지원 프로그램
◦장애학생 문화·예술·체육 프로그램 지원
◦스마트 전자칠판 지원(신규)
◦진로직업 기자재 지원(신규)
◦특수교육 자원봉사자 활동비 지원
◦유치원 특수학급 방과후과정 지원
유아특수복지과
(특수교육팀)
3-4
장애학생 대학체험 프로그램신규
◦장애학생 대학생활 체험 프로그램(신규)
유아특수복지과
(특수교육팀)
3-5
장애학생
취업지원신규
◦장애학생 취업지원(신규)
유아특수복지과
(특수교육팀)
3-6
장애학생 가족지원
◦가족지원 프로그램
◦전환기 학부모교육
◦학부모 연수
유아특수복지과
(특수교육팀)
3-7
특수학교 교직원 마음회복 지원신규
◦특수학교 교직원 마음회복 지원(신규)
유아특수복지과
(특수교육팀)
3-8
취약계층 학생 맞춤형 지원신규
◦취약계층 학생 1인당 100천원 현물 지원(신규)
유아특수복지과
(학생복지팀)
3-9
학생주도 교육복지동아리 운영신규
◦교육복지동아리 운영비 교당 2,000천원 지원(신규)
유아특수복지과
(학생복지팀)
3-10
교육회복 지역연계
「더 가까이」특색신규
◦교육공동체 일상회복 학교 밖 배움터 공간 조성 (본청)(특색)
◦교실로 찾아가는 마음 회복 프로그램(충주)(신규)
◦미래교육지구 청소년  문화벨트 활성화를 통한청소년 사회성 지원(충주)(신규)
◦책 읽어주는 마을선생님(제천)(신규)
◦교육회복프로젝트 실무추진단 운영(옥천)(신규)
◦복지안전망연계 탄탄 맞춤 지원(옥천)(특색)
◦학습클리닉연계 꼼꼼 학습 지도(옥천)(특색)
◦지역사회 협력
  촘촘 맞춤 돌봄(옥천)(특색)
학교혁신과
(혁신교육팀)
합계: 20과제(2021. 2추: 89억)


추진과제 3
【교육여건 개선】
1-1
과밀학급 해소신규
◦ 청주 중학교 배정인원 조정(28명 이하)
◦특별교실 전용 및 개조
  - 27교 62실
◦교실증축(모듈러 설치 포함)(신규)
  - 11교 168실
◦학교신설 : 총14교
  - 초 7교, 초중 2교, 고2교
행정과
(학생배치팀)
1-2
과밀학급 해소를 위한 교원 수급
◦과밀학급 해소를 위한 교원 수급
교원인사과
(초․중등인사팀)
1-3
교원 인사 제도 개선
◦교수학습 업무 지원
교원인사과
(초․중등인사팀)
2-1
교원치유지원센터
◦심리상담 및 심리치료
◦힐링 연수
교원인사과
(교권보호지원센터)
2-2
심리치유캠프신규
◦숙박형 심리치유 캠프 운영(신규)
학교자치과
(마음건강증진센터)
2-3
확진·완치자지원
◦확진자, 완치자 심리지원서비스
학교자치과
(마음건강증진센터)
2-4
심리회복프로그램
◦전문의 상담 심리지원서비스
학교자치과
(마음건강증진센터)
2-5
교직원 마음회복지원특색
◦교직원 마음회복 지원(특색)
학교혁신과
(초등교육팀)
2-6
수업과 생활교육 지원 업무효율화신규
◦「수업 집중 기간」학교로 공문발송 ZERO화 및 감사 OFF제  운영(신규)
◦교무행정지원팀책임교사 수업 시수 경감지원
◦초·중등단기수업지원 순회   기간제교사 운영
◦학교업무바로지원시스템  고도화(신규)
◦학교공문서 진단 키트 활용 업무 혁신 컨설팅
◦「새학년 준비기간」 및 수업·관계    집중 주간 일하는 방식 개선
◦교육지원청별 전문적 학교지원 행정서비스
발굴 및 추진(신규)
정책기획과
(학교지원기획팀)
3-1
학생주도 프로젝트 연계 미래형 수업
◦프로젝트 수업 운영 지원
◦전문적학습공동체를 통한 수업
   역량 강화
학교혁신과
(초등교육팀)
3-2
환경·생태교육
◦기후위기 대응 환경교육 강화
미래인재과
(창의융합교육팀)
3-3
학교자치및토의·토론교육자료개발신규
◦학생자치회 활동 예산 지원(신규)
◦학생자치회의실 구축 지원 확대
◦학교별 학생자치 사례 공유의 장 확대
◦토의·토론 교육자료 개발 및 보급
학교자치과
(민주시민교육팀)
3-4
창의교육거점센터
◦창의교육 관련 교원연수
미래인재과
(창의융합교육팀)
3-5
학교 무선망
◦고등학교 교무실 무선망 구축
◦무선망 통합 관리시스템 구축
미래인재과
(학교정보화지원팀)
3-6
공공 LMS
◦기능개선 및 활용 지원
미래인재과
(창의융합교육팀)
3-7
스마트기기
◦학생 1인 1스마트기기 보급
미래인재과
(학교정보화지원팀)
3-8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공간혁신
◦스마트교실
◦그린학교
시설과
(그린스마트미래학교팀)
3-9
진로활동실 구축
◦진로활동실(커리어넷) 
  구축 및 환경 개선
학교혁신과
(교육과정지원팀)
3-10
교육과정
진로진학지원실 구축신규
◦북부교육과정진로진학 지원실(신규)
◦청주교육과정진로진학 지원실(신규)
◦남부교육과정진로진학 지원실(신규)
학교혁신과
(교육과정지원팀)
합계: 19과제(2021 2추: 390억)

 

보 도 자 료

보도일시
2021. 8. 30.(월)오전 9시 30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총 22쪽(붙임 20쪽)
배포일시
2021. 8. 30.(월)
담당부서
예산과 예산팀
과    장
이찬동(290-2827)
담    당
팀장 하재숙(290-2131)

 


충북교육청, 3,149억원 증액한 추경예산안 편성
- 충북 교육회복을 위한 예산 856억원 편성 -

□ 충청북도교육청(교육감 김병우)은 기정예산(2조 8,680억원) 대비 3,149억원(10.98%) 증액된 3조 1,829억원 규모의 ‘2021년도 제2회 추가경정 예산안’을 편성해 8월 25일(수) 충북도의회에 제출하고 9월 2일부터 도의회 심의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 도교육청은 ▲정부 추경에 따른 증액분 2,716억원을 포함한 보통교부금 3,026억원 ▲특별교부금 및 국고보조금 123억원 ▲기타이전수입 15억원 ▲무상급식비 정산 등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이전수입 감액 19억원 등 총 세입재원 3,149억원을 반영하여 추경예산을 편성했다.
□ 이번 추경 예산안에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교육결손을 해소하기 위한 충북교육회복 종합방안 예산을 반영하였으며, 2학기 전면등교에 따라 방역체계를 강화하고, 학교 현안 해소를 위한 교육환경 개선과 현장 지원을 확대하는 등 교육여건개선 사업을 반영하였다.
□ 예산의 중점 반영 사업으로는
  - 첫째, 충북교육회복 예산으로 856억원을 편성하였다.(붙임 참고1)
   ▲교육결손 회복 377억원 ▲유아·직업계고·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89억원 ▲미래교육 도약을 위한 교육여건 개선 390억원 등 856억원을 반영하였다. 충북교육회복지원금 170억원과 유치원 놀이터 및 가상놀이 체험 공간 22억원, 미래교육 환경 구축을 위한 학생 스마트기기 구입 332억원(총사업비 412억원) 등을 포함하고 있다.
  - 둘째, 학생 안전과 학교 교육여건 개선을 위하여 614억원을 편성하였다.
    ▲2학기 등교지원인력 지원 54억원 ▲방역물품 구입 19억원 ▲학교도서관 책소독기 3억원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14억원 ▲학교급식기구 지원 32억원 ▲보건실 현대화 15억원 ▲예술교육실 구축 및 악기구입 지원 16억원 ▲학생자치공간 구성 22억원 ▲학교도서관 현대화 9억원 ▲학교기숙사 지원 14억원 ▲과학실, 컴퓨터실 등 현대화 및 기자재 구입 지원 55억원 ▲고교학점제 공간 조성 8억원 ▲운동부 및 학교체육시설 개선 56억원 ▲특성화고 실습교육여건개선 81억원 ▲컴퓨터 및 모니터 보급 28억원 ▲학교 수요를 반영한 기본운영비 지원 188억원 등이다.
  - 셋째, 학교 현안 및 교육환경 개선 사업으로 747억원을 편성하였다.
    ▲행복감성 NEW-SPACE 사업비 1.7억원(총사업비 502억원), 초등1학년 교실 개선 51교 5.5억원(총사업비 55억원) 등 학교 교육환경 개선 747억원을 반영하였다.
□ 도교육청 구본학 기획국장은 “학습결손 뿐 아니라 심리·정서 회복을 위한 충북교육회복 지원과 학교의 수요와 현안을 해소하는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예산을 반영하였고, 집행 과정에서도 지역 경제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2021년도 제2회 추가경정 예산안 설명자료 1부.


충북교육청, 3,149억원 증액한 추경예산안 편성
- 충북 교육회복을 위한 예산 856억원 편성 -

 

□ 충청북도교육청(교육감 김병우)은 기정예산(2조 8,680억원) 대비 3,149억원(10.98%) 증액된 3조 1,829억원 규모의 ‘2021년도 제2회 추가경정 예산안’을 편성해 8월 25일(수) 충북도의회에 제출하고 9월 2일부터 도의회 심의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 도교육청은 ▲정부 추경에 따른 증액분 2,716억원을 포함한 보통교부금 3,026억원 ▲특별교부금 및 국고보조금 123억원 ▲기타이전수입 15억원 ▲무상급식비 정산 등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이전수입 감액 19억원 등 총 세입재원 3,149억원을 반영하여 추경예산을 편성했다.
□ 이번 추경 예산안에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교육결손을 해소하기 위한 충북교육회복 종합방안 예산을 반영하였으며, 2학기 전면등교에 따라 방역체계를 강화하고, 학교 현안 해소를 위한 교육환경 개선과 현장 지원을 확대하는 등 교육여건개선 사업을 반영하였다.
□ 예산의 중점 반영 사업으로는
  - 첫째, 충북교육회복 예산으로 856억원을 편성하였다.(붙임 참고1)
   ▲교육결손 회복 377억원 ▲유아·직업계고·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89억원 ▲미래교육 도약을 위한 교육여건 개선 390억원 등 856억원을 반영하였다. 충북교육회복지원금 170억원과 유치원 놀이터 및 가상놀이 체험 공간 22억원, 미래교육 환경 구축을 위한 학생 스마트기기 구입 332억원(총사업비 412억원) 등을 포함하고 있다.
  - 둘째, 학생 안전과 학교 교육여건 개선을 위하여 614억원을 편성하였다.
    ▲2학기 등교지원인력 지원 54억원 ▲방역물품 구입 19억원 ▲학교도서관 책소독기 3억원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14억원 ▲학교급식기구 지원 32억원 ▲보건실 현대화 15억원 ▲예술교육실 구축 및 악기구입 지원 16억원 ▲학생자치공간 구성 22억원 ▲학교도서관 현대화 9억원 ▲학교기숙사 지원 14억원 ▲과학실, 컴퓨터실 등 현대화 및 기자재 구입 지원 55억원 ▲고교학점제 공간 조성 8억원 ▲운동부 및 학교체육시설 개선 56억원 ▲특성화고 실습교육여건개선 81억원 ▲컴퓨터 및 모니터 보급 28억원 ▲학교 수요를 반영한 기본운영비 지원 188억원 등이다.
  - 셋째, 학교 현안 및 교육환경 개선 사업으로 747억원을 편성하였다.
    ▲행복감성 NEW-SPACE 사업비 1.7억원(총사업비 502억원), 초등1학년 교실 개선 51교 5.5억원(총사업비 55억원) 등 학교 교육환경 개선 747억원을 반영하였다.
□ 도교육청 구본학 기획국장은 “학습결손 뿐 아니라 심리·정서 회복을 위한 충북교육회복 지원과 학교의 수요와 현안을 해소하는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예산을 반영하였고, 집행 과정에서도 지역 경제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2021년도 제2회 추가경정 예산안 설명자료 1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