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아트센터, 6월 18일(수) ~ 7월 13일(일) 1, 2관: 안말환 "숲으로의 초대" 3, 4관: 최인선 "회화의 고백" 3, 4관: 최인선 "회화의 고백" 한국 모노크롬의 거장 최인선 작가, '회화의 고백' 展 물질과 정신, 시간의 변증법으로 탐구하는 회화의 본질 6월 18일 네오아트센터 개막 한국 현대미술의 거장 최인선 작가(홍익대학교 회화과 교수)의 개인전 '회화의 고백'이 오는 6월 18일부터 7월 13일까지 청주 네오아트센터 3, 4관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70년대 단색화의 정신을 계승하여 90년대 ‘물성주의의 시대’를 연 작가가 ‘회화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 질문을 통해 도달한 최신 대형 추상 회화들을 선보이는 자리다. 세상의 소란함에서 벗어나 춘천의 폐교 작업실에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작가의 치열한 고백을 마주할 기회다. 최인선 작가는 1990년대, 한국 단색화의 정신을 이어받아 물질의 고유한 성질을 탐구하는 ‘물성주의’ 시대를 연 대표 작가로 미술계에 큰 주목을 받았다. 그의 작품 '겨울에 생산된 흰색'은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되며 이 시기 한국 미니멀 아트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이후 '색면의 시대'와 '시간적 입체주의'에 이
네오아트센터, 6월 18일(수) ~ 7월 13일(일) 1, 2관: 안말환 "숲으로의 초대" 3, 4관: 최인선 "회화의 고백" 1, 2관: 안말환 "숲으로의 초대" “가슴속 한 그루의 나무를 만나다” 안말환 작가 네오아트센터서 대규모 초대전 ‘숲으로의 초대“ 展 오는 18일부터 한 달간 돌가루로 빚어낸 독창적 ‘나무’ 연작으로 깊은 위로와 희망을 전해 누구나 마음속에 품고 있는 ‘한 그루의 나무’를 화폭으로 불러내 현대인에게 깊은 울림과 따스한 위안을 건네는 중견 화가 안말환의 대규모 초대전이 오는 6월 18일부터 7월 13일까지 청주 네오아트센터 1, 2관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40여 년에 걸쳐 구축된 작가의 예술 세계를 총망라하며, 그의 대표작인 ‘나무’ 연작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잊지 못할 성찰과 치유의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안말환 작가의 작품 세계를 관통하는 핵심은 지친 현대인을 향한 따뜻한 연민과 위로의 메시지다. 작가는 자신의 작품이 “혼돈 속에서 불안하고 지친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아무런 의심 없이 그 무거운 짐을 내려놓고 쉴 수 있는 신선한 숲, 그리고 세상에서 가장 크고 가장 깨끗한 당신의 호흡이 되고자 한다”고 말한다. 그의 나
청주 수암골에 위치한 네오아트센터가 오는 5월 14일부터 6월 15일까지 심병건, 이선희 두 작가의 ‘유연함의 영속성 (The Permanence of Flexibility)’이라는 주제로 전시를 선보인다. 두 작가는 서로 금속과 유리를 사용하고 그 자체로 시간의 흐름, 기억의 흔적, 형태의 변이를 시각화하는 재료로써 각각이 가진 물리적 특성에 따라 ‘유연함’의 의미를 확장하고 변형한다. 흐르고 굳어지는 유리와 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금속은 단순한 변화가 아니라, 그 속에서 생명력과 역사의 기억이 응축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1관과 3관에서 전시를 펼치는 심병건 작가는 강인한 금속판을 프레스 드로잉(Pressed Drawing)이라는 독창적인 기법으로 압력을 가하여, 가장 단단한 재료에서 가장 유연한 형상을 끌어냄으로써 금속 내부에 잠재된 유기적 곡선과 감각의 리듬을 끌어낸다. 이는 단단한 재료 속에서 피어나는 유연함의 흔적이자, 물질에 새겨진 시간의 압력이다. 또한 유리는 흐르고, 부풀고, 굳어진다. 그 과정은 찰나지만, 형상은 시간을 품은 채 영속된다. 오랜 시간이 흘러도 어떠한 외부 환경에도 변하지 않고 영구성을 유지하는 강함의 대명사인 스테인리스 스틸은
제27회 남송민화연구소 회원전 '행복한 민화' 한국공예관3층 2-3전시실에서 4월22일~4월27일 까지 개최한다. 남송(한영희)작가는 27회 오래동안 전시를 갖으면서 회원들이 실력을 쌓아 전시회때 작품에 임한다고 했다. 남송 작가는 공예를 전공한 중견 작가로서 공예와 민화의 만남을 소재로 작품화 하여 전시회에 보여 주고 있다. 이번 전시는 권순옥 외 26명의 작가들이 참여한다.
윤동주 순국80주기 기념전 2025. 4. 4. - 4. 18. (오픈닝:2025.4.4 pm5) 디휘테갤러리 위치 : 서울시 중구 마른내로 12길 7-11 김정배, 김태철, 송필용, 신철, 윤영화, 이용석, 이태량, 임진성, 조병완 (9명 작가 참여)
김태철교수는 퇴임후 몇년째 산야를 다니면서 작품자료를 렌즈에 담아오다가 4월초 서울 안국동 한옥란갤러리에서 "8개의 마음"을 주제로 작품세계를 발표한 그에게 사진기는 붓과 같은 의미일 뿐이라고 한다. 갑작스런 개인전이라 홍보가 없었고 계엄 탄핵 사태의 중심인 헌법재판소 인근의 갤러리라 도로가 차단되어 찾기란 미로를 탐험하듯 방문 했다. 갤러리에 들어서니 테이블에 손님이 와 있었다. 작가의 후배인 국민대 디자인계열의 교수였다. 대화의 모습에서 매우 가까운 사이라 직감했다. 조금 있으니 작가의 누나가 커피를 갖고 자리에 착석했다. 작가는 "평소 밤에 주로 작업을 한다"며 "때론 새벽녘까지 이어지는 작업 과정은 일련의 사마타적 명상태도와 닮아 있다"고 말했다. 어떤 대상에 대한 주의 집중으로 크게 집중(samatha)과 통찰(vipassana)의 방법으로 나뉘는데 작가의 작업은 전자와 비슷하다. 즉, 집중된 작업이 진행될수록 고요함과 희열감을 느끼면서 정신이 하나됨을 느낀다"고 설명했었다. 김교수는 지난 개인전에서는 "보이는 것 그 너머"와 "인연생 인연멸"의 주제를 통해 우리 삶의 주변과 인접한 자연에서 소외된 것들에 마음이 이끌려 자신의 작업 소재로 삼는다고
이용택 청주교대 교수 개인전 ‘흔적의 미학: 사라지는 것들, 남겨지는 것들’ 갤러리몸(김손비야 대표)은 2025년 3월 4일(화) 부터 4월 6일(일)까지 이용택 개인전 '흔적의 미학'을 개최한다. 오프닝 리셉션은 3월 15일(토) 오후 3시에 시작한다. 이번 리셉션에서는 이용택 작가와 직접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창작 과정과 예술적 철학을 들을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될 예정이다. 전시를 기획한 김손비야 갤러리몸 대표도 함께 참여해, 작가와 관람객 간의 대화를 이어가는 특별한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전시 개요 전시명: 이용택 개인전 「흔적의 미학」 전시 기간: 2025년 3월 4일 (화) – 4월 6일 (일) 전시 장소: 갤러리몸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45, 178호, 메세나폴리스몰) 오프닝 리셉션: 2025년 3월 15일 (토) 오후 3시 관람 시간: 24시간 관람 가능 생성과 소멸의 경계에서 발견하는 예술의 흔적 이번 전시는 시간과 존재의 흐름 속에서 남겨진 흔적과 소멸의 과정을 탐구하는 작품들로 구성되며, 작가가 오랜 시간 동안 연구해온 먹(墨)의 깊이와 여백의 미학, 그리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실험적인 표현 기법이 한데 어우러진다. 이용택 작
네오아트센터 신년 기획 초대전 조각 4인의 개인전을 한 자리에 오는 1월 15일 오후 4시 오프닝 청주 수암골에 위치하고 있는 네오아트센터의 신년 기획 초대전으로 오는 15일 수요일부터 3월 2일 일요일까지 김영란, 김정희, 양태근, 이후창 각 조각가들의 개인전을 4개의 전시장에서 시작한다. 이번 기획 초대전은 '조각(助各)이 조각(彫刻)되어'라는 주제 아래, 각자의 자리에서 헌신해 온 네 명의 조각가들의 작품 세계를 조명한다. '조각(助各)'은 '돕다'와 '각자'의 의미를 담아, 작가들의 헌신과 개성을 드러내는 동시에 이들의 공통점인 '조각(彫刻)'으로 연결되는 의미로 기획되었다. 1관은 이후창 조각가의 “Protective Coloring 보호색”이라는 주제로 개인전이 진행된다. 독특하게도 유리와 금속 등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실험적인 작업으로 활동하는 조각가이자 설치미술가이다. 유리라는 특수한 물성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국내에서는 매우 독보적인 작가로 정평이 나있다. 이미 13년전인 2011년 제11회 하정웅미술상을 광주시립미술관에서 수여할 정도로 작품성을 인정받은 바 있으며, 2017년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조각 행사인 서울국제조각페스타에서 수만 명
'상생'의 화가 손부남, 네오아트센터에서 '깨뜨릴 파(破)'를 선보이다 원시성과 현대성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차원으로 도약 청주 수암골에 위치하고 있는 네오아트센터에서 오는 30일부터 손부남작가 초대전을 개최한다. '깨뜨릴 파(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는 40여 년간 '상생(相生)'의 미학을 탐구해 온 작가의 새로운 예술적 도약을 보여주는 전시로 기획되고 있다. 손부남 작가는 자연과 인간의 조화, 생명의 순환, 공존의 가치를 깊이 있게 탐구하며, 원시 미술과 현대 미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해 왔다. 암각화를 연상시키는 거친 선묘와 두터운 마티에르, 즉흥적인 드로잉과 강렬한 색채는 그의 작품을 특징짓는 요소들이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파(破)'라는 주제 아래, 기존의 틀을 깨고 새로운 창조를 향한 열망을 표현한다. 특히, 전시장 입구에 설치된 3m 높이의 입체 작품은 '파(破)'의 의미를 함축적으로 드러내는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흰색 바탕에 검은색 그림과 기호들이 춤을 추듯 새겨져 있고, 꼭대기에는 금빛 나뭇가지 같은 새가 놓여 있는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회화와 조각의 경계를 허물고 평면에서 입체로 확장된 이
-김지현 작가, '상'의 해체, 본디의 아름다움을 찾아서 / 한국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이희돈 작가, 45년 예술 인생 응축 / 닥나무로 '인연'과 '소통' 그려내 캔버스 위 삶의 희로애락 담아 청주 수암골에 위치한 네오아트센터가 오는 9월 25일부터 10월 27일까지 김지현, 이희돈 작가의 초대전을 진행한다. ‘色(Object, 物) 그 境界 너머에’라는 주제로 전시를 준비한 김지현 작가는 추계예술대학교 교수직에서 퇴임하고 고향 청주 두모리의 산 속 절간과 같은 곳에서 작업하는 작가이다. 작가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언어나 보편적 가치 개념으로 한정화하고 규정지어 놓은 것들이기에 그것을 버리고 놓아 버리면 본디만이 남는다며 그것의 아름다움에만 관심과 애정을 쏟은 채 작업한다. 모든 작품 제목을 ‘Untitled(무제)’로 정한 것도 언어와 개념을 넘어선 순수한 감각을 전달하기 위함이다. 김지현 작가는 “본다는 현상은 눈을 통하여 듣는 것이다”라고 말하며, 일상의 생활방식이 언어가 소통의 도구였듯이 형(形)을 언어 대신 소통의 도구로 작업했다면 이제는 언어를 대신하던 그 형(形)의 도구조차 해체, 지성의 판단중지로 대상의 입장에서 인식화하는 기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