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충청북도 교육청

충청북도교육청, 지방공무원 131명 선발 외 (3월3일 종합)

 

[33일 보도자료 목록]

 

구분

제 목 (2)

자료

사진

영상

담당부서

행 사

(3. 3.) <엠바고 3. 3. 10:00>

충북교육청, 지방공무원 131명 선발

- 2023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공고 -

×

전경

×

총무과

행 사

(3. 3.) 2023년 교육비 지원 및 교육급여 지원 신청 시작

- 2~17일 읍면동 주민센터나 인터넷으로 신청 -

붙임1

전경

×

재정복지과

 

 

 

[33일 교육감 주요 일정]

 

시간

내 용

장 소

관련자료

보도자료

사진

영상

09:30

교육지원청 교육장 취임식

괴산증평

교육지원청

×

11:00

교육지원청 교육장 취임식

음성교육지원청

×

14:00

교육지원청 교육장 취임식

충주교육지원청

×

 

주요일정은 수시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충청북도교육청, 지방공무원 131명 선발

- 2023.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공고 -

 

충청북도교육청(교육감 윤건영)2023년도 지방공무원 공개(경력)경쟁임용시험을 통해 교육행정직렬을 비롯한 9개 직렬, 131명을 선발한다고 밝혔다.

직렬별 선발 인원은 교육행정 70전산 12사서 3공업(일반기계) 5 시설(건축) 2조리 2시설관리 30운전 6 기록연구사 1명이다.

공업(일반기계) 2 시설(건축) 1명은 특성화고등학교 및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졸업생의 공직 임용을 확대하고자 특성화고 졸업()자를 대상으로 하반기에 선발할 예정이다.

또한, 장애인은 교육행정 9전산 1, 저소득은 교육행정 2, 국가유공자(보훈청 추천)시설관리 6운전 2명으로 일반응시자와 구분하여 선발한다.

상반기 시험 응시원서 접수는 4 10()부터 14()까지, 하반기 시험 응시원서 접수는 821()부터 825()까지로 나뉘어 진행되고, 필기시험일은 610()1028()2차례 구분하여 실시한다.

시험 운영에 관한 문의사항은 충청북도교육청 총무과 인사팀(043-290-25132519)으로 문의하면 된다.

2023년 교육비 지원 및 교육급여 지원 신청 시작

- 32()~317() 읍면동 주민센터나 인터넷으로 신청 -

 

충청북도교육청(교육감 윤건영)은 오는 17일까지 저소득층 가정(기준 중위소득 50%이내)을 대상으로 ··고 학생 교육비 지원·교육급여 지원집중 신청 기간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교육급여와 교육비지원 신청은 집중신청기간 이후에도 언제든지 가능하지만, 교육비 지원의 경우, 신청한 날이 속하는 달부터 지원이 되므로 학기초부터 지원받을 수 있도록 이번 집중신청기간에 신청하는 것이 유리하다.

교육급여 수급자로 결정되면 초등학생은 415천원, 중학생은 589천원, 고등학생은 654천원의 교육활동지원비를 바우처로 지급받는다.

<전년도와 달라지는 교육급여>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2022. 지원금()

331,000

466,000

554,000

2023. 지원금()

415,000

589,000

654,000

 

교육비 지원 대상자로 결정되면 지원 기준과 학년에 따라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 졸업앨범비, 컴퓨터(PC)·인터넷통신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신청은 주민센터를 방문하거나 온라인(PC또는 모바일) 교육비 원클릭(oneclick.moe.go.kr) 또는 복지로(bokjiro.go.kr)에서 학부모 공인인증서로 신청할 수 있다.

이미 지원받고 있는 경우 다시 신청하지 않아도 되지만 교육급여의 경우는 인터넷(e-voucher.kosaf.co.kr)을 통해 반드시 별도로 바우처를 신청해야 한다.

한편, 현장체험학습비는 올해부터 소득기준 제한없이 대상학년 전체학에게 체험학습 종별 기준 금액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