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얀센, 모더나 등 글로벌 제약사 등을 통해 코로나19 예방 백신 4400만명분(인구의 85%)을 선구매한다고 8일 밝혔다. 내년 2~3월부터 단계적으로 선구매한 백신을 들여올 예정인데, 실제 접종 시기는 좀 더 늦춰질 수 있다.
정부는 이날 국무회의에서 코로나19 백신 확보 계획에 대해 심의·의결하고 예방접종 방안을 논의했다.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 세계백신공동구매 연합체)를 통해 1천만명분, 글로벌 제약사를 통해 3400만명분을 선구매할 계획이다. 제약사별로는 아스트라제네카 2천만회분, 화이자 2천만회분, 얀센 400만회분, 모더나 2천만회분을 선구매한다.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 모더나 백신은 각각 2회씩 접종해야 한다.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와 선구매 계약 체결을 마쳤고, 나머지 기업들은 구매 약관 등을 체결해 물량을 확정했다고 설명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선구매 백신은 내년 2~3월부터 단계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라며 “추후 후속 개발 백신 동향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추가로 필요한 물량도 적극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접종 시기는 백신 개발이 완료되지 않았고 안전성·효과성 우려가 있어, 코로나19 유행 상황과 다른 나라의 접종 동향 및 부작용 여부 등을 고려해 탄력적으로 정하겠다는 것이 정부 방침이다. 현재 개발 중인 백신들은 보관 조건이 까다롭고, 유효기간이 짧으며, 2회 접종을 해야 하는 등의 이유로 안정적인 접종을 위해 준비할 사항이 적지 않다. 가령 화이자 백신은 영하 70도에서 보관해야 한다.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확보하면 의료진과 노인 등을 중심으로 우선 접종한다는 방침이다.
8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정부는 노인, 집단시설 거주, 만성질환 등 ‘코로나19 취약계층’과 보건의료인 등 ‘사회 필수 서비스 인력’ 등을 우선 접종 권장 대상으로 검토하고 있다. 여기서 사회 필수 서비스 인력이란 의료기관 종사자, 요양시설·재가복지시설 종사자, 1차 대응요원, 경찰·소방공무원, 군인 등을 일컫는다.
정부는 현재까지 우선 접종자들로 분류되는 인원을 모두 합치면 3600만 명에 달하며, 추후 상황에 따라 대상이 변동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백신 우선 접종 대상자라 하더라도 ‘어떤 백신’을 맞을지 선택해 접종할 수는 없을 전망이다.
정부 관계자는 “백신이 도입되면 가장 적합한 접종대상자와 ‘매칭’을 하게 될 것”이라며 “개인의 자유의사에 따라 백신을 선택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반대로 우선 접종 대상자가 백신 접종을 극구 거부할 경우에는 본인의 동의를 기반으로 접종한다는 원칙을 존중하되, 최대한 설득해서 접종을 권유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