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고민 상담우수‘마을세무사’3명 도지사 표창
- 코로나 19장기화, 경제침체 등에 따른 세금 고민 해결 주역 -
- 충북 마을세무사 28명, 2020년 2,170건 상담, 재능기부 통해 무료상담 제공 -
충북도는 4월 9일(목) 11:30, 도지사 집무실에서 2020년 세무상담 실적이 우수한 마을세무사 3명에게 도지사 표창을 수여했다.
표창 수상자는 청주시 정삼균세무사(세무법인 백두 청주지점), 충주시 신영란세무사(신영란 세무회계사무소), 진천군 서길환세무사(서길환 세무회계사무소)이다.
‘마을세무사 제도’는 2016년 6월부터 세무사들의 재능기부를 통해 취약계층, 영세납세자와 서민에게 무료 세무 상담을 제공하는 제도로서, 국세와 지방세 세무상담 뿐만 아니라 지방세 불복청구 관련 상담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수여식은 지방세정 발전에 기여한 우수 마을세무사를 선정하여 자긍심 고취와 제도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경제적 이유 등으로 세무 상담을 받기 어려운 영세소상공인 등의 세금 고민 해결 △코로나19 피해 극복 세제지원 상담, △조세제도 개편에 따른 세금계산의 어려움 해결 등을 적극 수행한 마을세무사들을 수상자로 선정했다.
현재 충북에는 총 28명의 마을세무사가 활동 중에 있으며, 시군별로 세무사 1~8명이 배치되어 있다.
해를 거듭할수록 상담 건수는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지난해 상담 실적은 총 2,170건으로 2019년도 881건 대비 1,289건, 146.3%가 증가해 마을세무사 한 명당 평균 78건의 무료 상담서비스를 제공한 셈이다.
상담 방법으로는 전화 상담이 73.4%(1,594건)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방문상담 25.7%(557건), 팩스‧전자우편 0.9%(19건) 순으로 많았다.
마을세무사의 상담을 원하는 도민은 도‧시군 홈페이지, 민원창구와 읍면동 주민센터에 비치된 홍보자료 등을 통해 마을세무사 연락처를 확인하고, 전화‧팩스‧전자우편 등을 통해 상담 받을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방문 상담도 가능하다.
도는 앞으로도 도민들이 생활 속 세금 고민을 더 쉽고 편리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제도 활성화에 힘쓰고, 마을세무사가 자부심을 갖고 활동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시종 도지사는 “도민을 위해 봉사하는 모든 마을세무사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앞으로도 경기 침체와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민들에게 세금 문제 해결사 역할을 해달라”라고 당부했다.
붙임 마을세무사 운영개요
세금상담 재능기부「마을세무사」2021년 운영개요
운영개요
❍ 기 간 : ’21. 1. 1. ~ 12. 31.
❍ 활동인원 : 마을세무사 28명 ※전국 1,459명
❍ 상담사항 : 국세와 지방세 세무상담, 지방세 불복청구 관련 상담
❍ 이용대상 : 취약계층, 영세사업자, 농촌 주민 등 도민
〈 마을세무사 제도 개요 〉
(목 적) 영세사업자, 농어촌 주민 등 세무사 이용이 어려운 주민에게 세무사 들의 재능기부를 통해 무료 세무상담을 제공
(관계기관) 행정안전부, 한국세무사회, 전국 지방자치단체
(추진경과) ’16. 6월 시행, 제3기 마을세무사 ’20. 1. 1. ~ ’21. 12. 31.
(이용방법) 도·시군(홈페이지)에서 주변 마을세무사 확인, 전화‧메일‧팩스‧방문상담
운영실적
구 분 |
마 을 세무사 |
상 담 내 용(건) |
상 담 방 법(건) |
||||||
계(a) |
국 세 |
지방세 |
계(b) |
전화 |
방문 |
메일 |
팩스 |
||
2020년 |
28명 |
2,170 |
1,705 |
465 |
2,170 |
1,594 |
557 |
7 |
12 |
2019년 |
27명 |
881 |
660 |
221 |
881 |
525 |
350 |
3 |
3 |
2018년 |
27명 |
441 |
332 |
109 |
441 |
309 |
123 |
9 |
|
2017년 |
22명 |
573 |
457 |
116 |
573 |
386 |
185 |
|
2 |
참고
제3기 마을세무사 명단
시군 |
담당지역 |
성명 |
연락처 |
소재지 |
계 |
|
28명 |
|
|
청주시 (8) |
상당구 |
정삼균 |
043-239-6767 |
청주시 상당구 상당로 69번길 21, 3층 |
상당구 |
장종훈 |
043-214-0407 |
청주시 상당구 1순환로 102-1, 5층 |
|
서원구 |
남복우 |
043-275-8868 |
청주시 흥덕구 사직대로 81번길4, 4층 |
|
서원구 |
김재영 |
043-268-3040 |
충북 청주시 서원구 사직대로 110, 4층 |
|
흥덕구 |
곽동주 |
043-238-1300 |
청주시 흥덕구 죽천로 135, 3층 |
|
흥덕구 |
박광석 |
043-224-8813 |
청주시 상당구 상당로 178 |
|
흥덕구 |
남기환 |
043-275-8868 |
청주시 흥덕구 사직대로 81번길4, 4층 |
|
청원구 |
심정주 |
043-214-9132 |
충북 청주시 청원구 1순환로 108-1, 5층 |
|
충주시 (5) |
충주시 |
유경호 |
043-724-3919 |
충주시 충원대로 708 |
충주시 |
신영란 |
043-854-6677 |
충주시 충원대로 708, 가동 101호 |
|
충주시 |
정용순 |
043-842-0074 |
충주시 중원대로 708 나-101호 |
|
충주시 |
박종봉 |
043-852-5100 |
충주시 번영대로 48 |
|
충주시 |
남기홍 |
043-846-3939 |
충주시 충원대로 708 가동 102호 |
|
제천시 (2) |
제천시 |
이재명 |
043-644-1883 |
제천시 의병대로 78, 3층 |
제천시 |
송종기 |
043-651-0068 |
제천시 의림대로(중앙로 2가) 150-1 |
|
보은군 (1) |
보은군 |
유연종 |
043-543-9961 |
보은군 보은읍 삼산로 44, 3층 |
옥천군 (2) |
옥천군 |
김홍권 |
043-731-0001 |
옥천군 옥천읍 중앙로 91-8 |
옥천군 |
박종혁 |
043-732-1916 |
옥천군 옥천읍 중앙로 94, 2층 |
|
영동군 (1) |
영동군 |
박세원 |
043-745-2340 |
영동군 영동읍 중앙로 3길 20 |
증평군 (1) |
증평군 |
최명호 |
043-836-6353 |
증평군 증평읍 중앙로 230-1 |
진천군 (2) |
진천군 |
서길환 |
043-534-8383 |
진천군 진천읍 남산길 54-1 |
진천군 |
조현준 |
043-534-5444 |
진천군 진천읍 상산로 59-1 |
|
괴산군 (1) |
괴산군 |
송영석 |
043-845-3211 |
충주시 계명대로 136, 2층 |
음성군 (3) |
음성군 |
윤인섭 |
043-881-0004 |
음성군 맹동면 대하로 291, 씨티타워 202호 |
음성군 |
김광현 |
043-882-4647 |
음성군 금왕읍 무극로 237-15, 2층 |
|
음성군 |
김동현 |
043-878-5222 |
음성군 금왕읍 탑골7길 2, 1층 |
|
단양군 (2) |
단양군 |
안흥식 |
043-644-9051 |
제천시 중앙로 108, 2층 나-120호 |
단양군 |
김길영 |
031-483-3900 |
경기 안산시 단원구 광덕서로 82, 110호 |
-함께하는 도민 일등경제 충북-
충북도, 시각장애인 안마서비스 제공기관을 위한 맞춤형 정보 제공
- 점자책 및 음성파일(CD) 지침 제작·배부 -
충청북도와 충청북도 지역사회서비스지원단은 지난 6일부터 도내 시각장애인 안마서비스 제공기관 25개소(※'21년 1월 기준)를 대상으로 올바른 안마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침을 점자책 및 음성파일(CD) 형태로 제작·배부했다.
해당 지침서는 2021년 보건복지부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지침과 충청북도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시각장애인 안마서비스 기준정보에 근거해 작성했다.
주요내용으로는 안마서비스제공기관 준수사항, 서비스 이용자 자격 관리, 구비서류 등 올바른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맞춤형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시각장애인 안마서비스는 노인성 질환(근골격계·신경계·순환계)을 가진 기준중위소득 140%이하 또는 기초연금수급자 대상으로 안마·지압을 제공하는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이다.
*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서비스를 발굴·집행하여 선정된 이용자에게 이용권(전자바우처)을 지원하는 사업
의료법에 따라 자격을 갖춘 안마사가 운영 지침에 따라 등록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에 참여하는 신규 제공기관을 위해 음성 파일 형태 지침을 지원단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제공할 예정이다.
사업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충청북도 지역사회서비스지원단 홈페이지(www.cbcsi.or.kr) 및 모바일 URL(https://panmago.com/321/CSSC/t/5)을 통해 확인 가능하며, 이용을 희망하는 도민은 거주 지역 주민센터에 문의하면 된다.
한편 충북도는 시각장애인 안마서비스 외에도 아동·청소년 심리지원서비스, 뇌졸중 환자를 위한 찾아가는 맞춤재활서비스, 장애인 보조기기 렌탈서비스 등 2021년 현재 34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참 고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시군별 시행 현황 (’21. 3월 기준)
연번 |
서비스 명 |
시행시군 |
1 |
장애인 보조기기 렌탈서비스 |
7개 시·군 (청주, 충주, 제천, 영동, 증평, 진천, 음성) |
2 |
장애인·노인을 위한 돌봄여행 서비스 |
4개 시·군 (청주, 충주, 진천, 음성) |
3 |
아동·청소년 심리지원서비스 |
10개 시·군 (보은 제외) |
4 |
영유아 발달지원 서비스 |
4개 시·군 (청주, 충주, 영동, 진천) |
5 |
아동청소년 정서발달지원서비스 |
8개 시·군 (청주, 충주, 제천, 보은, 증평, 진천, 괴산, 단양) |
6 |
시각장애인 안마서비스 |
9개 시·군 (진천, 괴산 제외) |
7 |
정신건강 토탈케어 서비스 |
4개 시·군 (청주, 옥천, 진천, 괴산) |
8 |
아동·청소년 비전형성 서비스 |
6개 시·군 (청주, 충주, 제천, 증평, 괴산, 단양) |
9 |
실버라이프케어 서비스 |
6개 시·군 (청주, 충주, 제천, 증평, 괴산, 음성) |
10 |
뇌졸중 환자를 위한 찾아가는 맞춤재활서비스 |
11개 시·군 |
11 |
맞춤형 치매예방서비스 |
8개 시·군 (충주, 제천, 옥천, 영동, 증평, 진천, 괴산, 단양) |
12 |
진로컨설팅 프로그램 |
1개 시·군 (진천) |
13 |
아동건강 관리서비스 |
2개 시·군(청주, 제천) |
14 |
아동·청소년의 역사탐험 프로젝트 |
3개 시·군(충주, 제천, 음성) |
15 |
부모-아동 상호관계 증진서비스 |
2개 시·군(청주, 진천) |
16 |
인터넷 과의존 아동청소년 치유서비스 |
1개 시·군(청주) |
17 |
토닥토닥 어르신 마음건강서비스 |
1개 시·군(청주) |
18 |
가족관계 형성지원 서비스 |
1개 시·군(청주) |
19 |
가족강화를 위한 의사소통훈련 지원서비스 |
1개 시·군(청주) |
20 |
과학실험을 활용한 학습프로그램 |
1개 시·군(청주) |
21 |
유·아동 통합지원서비스 |
1개 시·군(충주) |
22 |
노인 맞춤형 운동서비스 |
1개 시·군(충주) |
23 |
장애인을 위한 맞춤운동서비스 |
1개 시·군(충주) |
24 |
키즈드림 성장프로그램 |
1개 시·군(제천) |
25 |
Go And Go, Dream 제천유소년야구단 |
1개 시·군(제천) |
26 |
어르신 한방 건강지원 서비스 |
1개 시·군(제천) |
27 |
꿈꾸는 요리아카데미 |
1개 시·군(제천) |
28 |
우리아이 행복충전 서비스 |
1개 시·군(영동) |
29 |
지적장애인 사회성 발달 심리지원서비스 |
1개 시·군(진천) |
30 |
중소기업근로자통합지원서비스 |
1개 시·군(진천) |
31 |
일상생활지원서비스 |
1개 시·군(진천) |
32 |
식사․영양관리서비스 |
1개 시·군(진천) |
33 |
저소득층 아동돌봄 서비스 |
1개 시·군(음성) |
34 |
찾아가는 행복나눔서비스 |
1개 시·군(단양) |
-함께하는 도민 일등경제 충북-
2021년 농식품부 푸드플랜 패키지 공모에 옥천군 선정
- 2022~2025까지 4년간 국비 49억원 확보, 건강한 먹거리 공급체계 구축 -
충청북도는 2021년 농식품부가 지원하는 ‘푸드플랜 패키지 지원사업’에 옥천군이 최종 선정되어, 2022년부터 4년간 국비 49억원 확보했다고 밝혔다.
푸드플랜 패키지 지원사업은 지역 푸드플랜을 수립한 지자체를 대상으로 관련 농림사업을 포괄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는 전국적으로 17개 시군에서 사업을 신청해 전문가 서면·발표 평가를 거쳐 옥천군을 포함한 10개 시군이 선정됐다.
* 패키지 지원 시·군(누적): (2019) 9개 → (2020) 17 → (2021) 27
< 2021년 공모사업 선정 지자체별 지원규모 >
지자체 |
춘천 |
평창 |
옥천 |
공주 |
고창 |
익산 |
부안 |
순천 |
울진 |
김해 |
지원예산 (국고, 억원) |
3 |
44 |
49 |
3 |
47 |
49 |
20 |
13 |
14 |
38 |
한편, 금년 선정된 10개 시군은 5월중 농식품부, 광역 지자체(도)와 ‘먹거리 계획 협약‘을 맺고 연차별 사업을 추진할 계획으로, 충북도와 옥천군은 로컬푸드를 활용한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 공급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세부 내용으로는 △먹거리통합지원센터와 같은 공급 기반 시설과 농가 교육, △안전성 검사비 지원, △직매장 홍보 등 푸드플랜 실행에 필요한 사업 전반을 지원하며, 기반 시설 보유 여부에 따라 일부 지역의 경우 교육 등 운영 관련 사업을 지원한다.
충북도 관계자는 “이번 사업에 옥천군이 충북에서는 처음 선정되게 되어 기쁘다”라고 말하면서,“로컬푸드 직매장과 먹거리통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지역농산물이 선순환되는 구조를 만들어 중소농가 소득 안정과 지역 경제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1년 푸드플랜 패키지 지원사업」옥천군 선정 보고
2021년도 지역 푸드플랜 패키지 지원사업에 옥천군이 최종 선정되어 ‘22~’25까지 4년간 국비 49억원을 확보하였기에 보고 드림.
선정개요
❍ 사업목적 : 먹거리 선순환체계 구축을 위해 농림사업을 패키지로 지원함으로써 푸드플랜의 효과적 실행 및 안정적 정착 도모
❍ (공모신청) 17시군(충북 : 옥천, 괴산) → (선정) 10시군(충북 : 옥천)
- 지자체 선정 내역
(단위 : 억원)
지자체 |
옥천 |
평창 |
춘천 |
공주 |
고창 |
익산 |
부안 |
순천 |
울진 |
김해 |
지원예산(국비) |
49 |
44 |
3 |
3 |
47 |
49 |
20 |
13 |
14 |
38 |
❍ 옥천군 연차별 투자계획
사 업 별 |
구 분 |
4개년 (백만원) |
|||||
계 |
‘22 |
‘23 |
‘24 |
‘25 |
|||
합 계 |
보조 |
국 비 |
4,910 |
980 |
1,480 |
1,470 |
980 |
지방비 |
2,110 |
420 |
640 |
630 |
420 |
||
합계 |
7,020 |
1,400 |
2,120 |
2,100 |
1,400 |
||
신활력 플러스 |
보조 |
국 비 |
4,900 |
980 |
1,470 |
1,470 |
980 |
지방비 |
2,100 |
420 |
630 |
630 |
420 |
||
합계 |
7,000 |
1,400 |
2,100 |
2,100 |
1,400 |
||
공공급식 기획생산체계 구축 |
보조 |
국 비 |
10 |
- |
10 |
- |
- |
지방비 |
10 |
- |
10 |
- |
- |
||
합계 |
20 |
- |
20 |
- |
- |
향후계획
❍ 농식품부·충북도·옥천군 ’먹거리 계획 협약‘ 체결 : 5월중
❍ 전담자문단 제도 운영(연간 4회 이상 방문 컨설팅) : 5월~
❍ 연차별 사업추진 : ‘22~’25
참고 1
ㅣ
푸드플랜 패키지 지원 사업 개요
□ (목적) 지역 푸드플랜 추진 의지가 높은 지자체에 대하여 먹거리 선순환체계 구축을 위해 필요한 농림사업을 패키지로 지원
□ (대상사업) 16개 사업(농식품부 12개, 농진청 2개, 시‧도 2개)
구 분
‘21년(16개)
농식품부
-농산물산지유통시설지원(APC, 저온유통체계구축, 식품소재및반가공산업육성)
-농산물직거래(직매장설치, 교육‧홍보, 직거래장터)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지원
-과수분야스마트팜확산
-일반농산어촌개발(신활력플러스)
-농촌융복합산업활성화지원(지역단위네트워크구축)
-지역단위 푸드플랜 구축지원(안전‧품질관리, 기획생산체계구축),
농진청
-농산물종합가공기술지원
-농산물안전분석실운영
시·도*
-농촌자원복합산업화지원
-향토산업육성
* 시‧도 사업(농촌자원복합산업화지원, 향토산업육성)은 지방이양사업으로, 시‧도에서 해당사업을 푸드플랜 추진 시‧군에 지원할 경우 패키지 지원 대상 선정 시 가점 부여
□ (지원방안) 패키지 지원 대상 지자체와 ‘먹거리 계획 협약’을 맺고, 5년간(‘21~’25) 지자체에서 필요로 하는 사업 지원
○ 추진상황 점검 및 사업 성과 제고를 위해 지자체별 전담자문가(FD, Family Doctor) 제도 운영
□ (추진경과) 공모(‘20.1~2월) → 서면평가(’20.3월) → 발표평가(‘20.3월) → 사업자 및 지원규모 확정(’20.4월)
□ 지원현황
○ (‘19~’23) 9개 시·군, 국비 404억원 지원
지자체 |
화성 |
세종 |
청양 |
군산 |
완주 |
전주 |
나주 |
해남 |
상주 |
예산 (국고, 억원) |
93 |
19 |
22 |
33 |
46 |
7 |
74 |
46 |
64 |
○ (‘20~’24) 8개 시·군, 국비 431억원 지원
지자체 |
서산 |
장성 |
유성 |
이천 |
구미 |
남해 |
진주 |
김제 |
예산 (국고, 억원) |
29 |
49 |
2 |
67 |
118 |
27 |
112 |
27 |
참고 2
ㅣ
푸드플랜 패키지 지원에 따른 주요 추진계획
가. 먹거리 계획 협약 체결
□ 협약대상 : 농식품부-시·도-시·군·구
□ 협약시기(5월, 잠정) 및 방식 등은 추후 협의
나. 전담자문단(FD, Family Doctor) 제도 운영
□ 운영시기 : 2021. 5월 ~
□ 운영인원 : 선정된 10개 지자체별 위촉·운영
○ 위촉/운영 : 농림축산식품부 / aT
□ 운영내용 : 패키지 지원 지자체를 연간 4회 이상 현장 방문하여 사업추진 자문 및 점검
다. 사업 추진체계
□ 지자체 : 패키지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지자체는 각 지자체별 5개년 지원 대상 사업에 대해 각 사업부서에서 매년 추진하는 공모절차를 거쳐 기본요건을 갖춘 경우에만 최종 선정
□ 각 사업부서 : 공모 → 평가 → 선정 → 지원
□ 사업주관 부서 및 aT : 추진상황 점검 및 매년 평가 실시
- 함께하는 도민 일등경제 충북 -
허태웅 농촌진흥청장, 과수화상병 등 충북 농업현안 청취
- 과수화상병 방제, 곤충산업 현장 방문 등 충북도 혁신과제 점검 -
충북농업기술원(원장 송용섭)은 지난 8일 허태웅 농촌진흥청장이 충주시 산척면을 방문해 과수화상병 드론 방제 현장 시연을 참석하고 철저한 차단방역에 혼신을 다할 것을 당부했다고 밝혔다.
이날 허 청장은 충북농기원 송용섭 원장과 충주농기센터 정진영 소장 등 관계관 20여명과 드론방제 연시를 참관한 과원 현장에서 “과수 산업의 최대 위기이자 해결 과제인 과수화상병 근절은 재배농가의 효율적인 차단방역이 선행돼야 막을 수 있다” 라며, “디지털 농업 드론을 활용한 방제기술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도록 실용화 시켜 나가보자.”라고 말했다.
또한, 충북농기원은 △신(新)특화작목 육성 △디지털농업 정착 △치유농업 확산 등 충북 농업 혁신성장 7대 핵심과제를 설정하고 그간 추진상황과 향후계획에 대한 업무보고를 통해 농촌진흥청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이어진 농업인단체 및 직원 간담회에서는 코로나19를 비롯한 기후변화 등 어려움을 극복하고 식량안보를 위해 현장에서 구슬땀을 흘려온 노고를 격려하고 애로사항도 청취했다.
더불어, 곤충종자보급센터와 청주시 소재 사료용 곤충 동애등에 산업화 사업장인 ㈜엔토모(대표 박기환)도 방문해 미래 먹거리인 곤충 산업의 전망과 소비촉진 방안 등 사업 현장의 어려움을 나누는 의미 있는 시간도 가졌다.
끝으로, 허 청장은“「대한민국 농업혁신의 중심, 충북」 비전 달성을 위해 농진청, 시군센터와 함께 다양한 혁신전략 실현을 위한 노력을 현장방문을 통해 느꼈다.”라며 “충북도 지역농업 발전을 위해 농기원과 협력하여 아낌없는 지원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