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자료 목록
제 목 (7건) |
사진 |
ENG |
담당부서 |
▸ 충북도-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차전지 산업 글로벌 생태계 강화를 위해 두손 맞잡다 |
○ |
○ |
산업육성과 |
▸ 충북도, 5월부터 ‘하절기 비상방역체계’ 가동 |
○ |
× |
감염병관리과 |
▸ 5월 1일부터 출산육아수당 신청·접수 시작 |
× |
× |
인구정책담당관 |
▸ 충북도,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지원 사업자 공모 |
× |
× |
농식품유통과 |
▸ 함께하면 대박나는「2023 동행축제」시작 |
○ |
× |
경제기업과 |
▸ 지역농산물 직매장 관계자 연찬회 개최 |
○ |
× |
농식품유통과 |
▸ 충북보건환경연구원, 먹는물 등 담당 공무원 실무 교육 실시 |
○ |
× |
보건환경연구원 |
□ 금일 주요행사
시간 |
내 용 |
장 소 |
비고 |
관련자료 |
||
보도자료 |
사진 |
ENG |
||||
09:00 |
업무결재 |
여는마당 |
|
× |
× |
× |
10:00 |
제408회 제2차 도의회 임시회 |
본회의장 |
|
× |
× |
× |
14:00 |
(사)충북향토사연구회 관계자 간담회 |
여는마당 |
|
× |
○ |
○ |
15:30 |
道-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업무협약식 |
섬기는방 |
|
○ |
○ |
○ |
16:00 |
문화기반시설 조성 전략회의 |
여는마당 |
|
× |
○ |
○ |
※ 상기일정 및 자료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충북도-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차전지 산업 글로벌 생태계 강화를 위해 두손 맞잡다
- 도내 이차전지 기업 정책자금 및 사업화 지원 강화 업무협약
- 김 지사, “중소벤처기업 육성하여 충북이 세계적인 이차전지 산업의 지속적인 우위 선점”
충북도(지사 김영환)는 28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사장 김학도, 이하 ‘중진공’)과 도내 이차전지 분야 중소기업의 집중 육성 및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중진공은 1979년 설립된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연간 10조원 규모의 중소벤처기업 창업 및 진흥 기금을 운용하며, 정책자금 융자, 창업·기술 지원, 수출·세계화 등 중소벤처기업의 경영기반 확충과 경영 애로 해소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기관이다.
이번 협약은 LG에너지솔루션, 에코프로비엠 등 선도기업 중심으로 도내 집적화되어 있는 이차전지 공급망을 형성하고 있는 기업을 위해 중진공의 다양한 정책지원 제도를 통한 충북의 이차전지 산업육성 전략의 추진동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협약 주요 내용은 △정책자금 우선공급 등 지원 강화 △협동화·협업화를 통한 공동설비구축 및 원부자재 공동구매 지원 △수출·판로 및 세계화 지원 △산업 및 기업동향 정보의 공유 △지역협력 교류회 운영 협조 등이다.
충북도 김영환 지사는 “우리도에서 구축중인 우수한 이차전지 제조·시험평가·분석 실증기반시설을 활용한 기술개발 및 사업화 지원과 중진공의 정책자금 공급 등 지원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을 육성한다면, 우리도가 세계적인 이차전지 산업 경쟁력의 지속적인 우위 선점이 가능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중진공 김학도 이사장은 “이번 업무협약으로 이차전지를 비롯한 국가 첨단전략산업을 중심으로 제조 강국 대한민국의 미래 설계와 관련 기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한 지역협력의 기반이 마련되었으며, 정책자금을 비롯한 창업, 수출‧판로 등 중진공의 정책 역량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도내 이차전지 관련 기업 정책금융 지원을 위한 -
충북도-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업무협약식 개최
□ 행사개요
❍ (일 시) 2023. 4. 28.(금) 15:30 ~ 16:00
❍ (장 소) 섬기는 방
❍ (참 석 자) 8명
- 충북도(4) : 지사님, 과학인재국장, 산업육성과장, 이차전지산업팀장
- 중진공(4) : 이사장, 충북지역본부장, 충북북부지부장, 지역본부 부장
❍ (협약내용) 충북 이차전지 산업 생태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 도내 이차전지 관련 기업에 대한 정책금융 지원 강화
- 중소기업 대상 협동화사업 등 혁신성장 정책자금 지원
* 다수 기업이 공동으로 생산시설 구축 및 원재자 구매 등을 위한 자금지원
□ 세부일정(안)
시 간 |
|
진행순서 |
비 고 |
30´ |
|||
15:30~15:33 |
3´ |
▸개식 및 참석자 소개 |
이차전지산업팀장 |
15:33~15:37 |
4´ |
▸협약서 서명 |
지사님, 공단 이사장 |
15:37~15:40 |
3´ |
▸기념촬영 및 폐회 |
참석사 전원 |
15:40~16:00 |
20´ |
▸환담 및 티타임 |
〃 |
※ 지사님 하실 일 : 협약서 서명, 기념촬영, 환담
□ 향후계획
ㅇ 이차전지 중소기업을 위한 정책자금 지원 등 세부 실행방안 마련
충북도, 5월부터 ‘하절기 비상방역체계’ 가동
-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신속 대응 위해 24시간 연락체계 유지 -
충북도는 5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의 신속한 대응을 위해 각 시․군 보건소와 연계하여 하절기 비상방역체계를 가동한다.
특히, 여름철은 기온과 습도가 높아 미생물 증식이 쉬운 환경으로 세균성 이질, A형 간염, 노로바이러스 등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이 많이 발생한다. 그간 도내에서는 2021년 438명, 2022년에는 266명, 올해는 벌써 159명이 발생하였다.
이에 도와 각 시군 보건소는 5월부터 9월까지 5개월간 감염병 발생보고 및 연락체계를 24시간 유지하고, 감염병 발생 시 원인 규명 및 지역 확산 방지 위해 비상방역체계를 운영할 계획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씻기, 음식 익혀먹기, 물 끓여 마시기 등 예방수칙을 강조하며, 2인 이상이 동일한 음식물을 섭취하여 설사증상이 있을 때는 가까운 보건소에 신고를 당부했다.
5월 1일부터 출산육아수당 신청·접수 시작
- 거주지 읍면동에 신청, 출생아 1인당 총 1천만원 지급
- 김 지사, “출산육아수당은 지역 출생률 제고와 인구감소 대응의 마중물 역할”
민선8기 김영환 도지사의 대표공약으로 추진하는 ‘출산육아수당’의 신청 및 접수가 5월 1일부터 11개 시군에서 본격 시행된다.
이에 따라 2023년 1월 이후 태어난 도내 출생아의 보호자는 5월 1일부터 출생아동의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올해 300만원을 시작으로 만4세까지 1인당 총 1천만원을 연차적으로 나누어 지원받게 된다.
<충북 출산육아수당 연차별 지원금액>
(단위 : 만원)
구분 |
합계 |
0세 |
1세 |
2세 |
3세 |
4세 |
5세 |
6세 |
‘23년 출생아 |
1,000 |
300 |
100 |
200 |
200 |
200 |
|
|
‘24년이후 출생아 |
1,000 |
- |
100 |
200 |
200 |
200 |
200 |
100 |
2023년 출생아에게 지원되는 올해 1회차 수당은 출생일 기준 도내 6개월 이상 거주한 부 또는 모가 신청할 수 있으며, 도내에서 출생신고한 후 출생아와 주민등록을 같이 하고있는 경우 지급받을 수 있다. 다만, 도내 거주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6개월이 지난 후 신청할 수 있다.
또한, 아동의 출생일 이후 도내에 전입한 경우 1회차인 300만원은 지원 받을 수 없으나, 그 다음 회차부터는 거주기간에 따라 지원받을 수 있다.
그동안 충북도에서는 원활한 사업 시행을 위하여 관련 조례 정비, 사업지침 수립, 시군담당자 업무연찬회 등 사전 준비와 함께 각종 회의, 언론 광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당 신청에 대해 안내해 왔다.
김영환 도지사는 “출산육아수당은 지역 출생률 제고와 인구감소 대응의 마중물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하며, 출산육아수당을 시작으로 ‘아이 낳고 기르기 좋은 충북’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출산육아수당 사업개요 1부.
붙임 |
|
출산육아수당 지원 사업 |
사업개요
○ (지원금액 및 기준일) 출생아동 1인당 1,000만원을 아래의 기준일에 지급
- 2023년 출생아
기준일 |
1회차 |
2회차 |
3회차 |
4회차 |
5회차 |
신청일 |
만1세 생일 |
만2세 생일 |
만3세 생일 |
만4세 생일 |
|
지급금액 |
300만원 |
100만원 |
200만원 |
200만원 |
200만원 |
- 2024년 이후 출생아
기준일 |
1회차 |
2회차 |
3회차 |
4회차 |
5회차 |
6회차 |
만1세 생일 |
만2세 생일 |
만3세 생일 |
만4세 생일 |
만5세 생일 |
만6세 생일 |
|
지급금액 |
100만원 |
200만원 |
200만원 |
200만원 |
200만원 |
100만원 |
○ (지급대상) ‘23년 1월 1일 이후 도내 출생아
- 주민등록상 충북에 거주하는 부 또는 모와 주민등록을 함께 둔 경우
- ’23년 1회차는 아동출생일 기준 부 또는 모가 도내 6개월 이상* 거주한 경우
※ 거주기간 6개월 미만 시 경과 후 지급
○ (신청방법) 아동의 주민등록상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신청
○ (전입시 처리) 전입한 월부터 지급일까지 월할계산하여 일괄 지급
- (‘23년 1회차) 타 시도에서 출생 후 전입시 지급하지 않음
- (그 외) 도내 전입한 경우 전입일이 속하는 월부터 월할 계산하여 돌아오는 기준일(생일)에 일괄 지급
출산육아수당 업무 흐름도
구분 |
|
주체 |
|
내용 |
|
|
|
|
|
수당 신청 |
|
보호자 |
|
∙ 신청서 작성 및 구비서류 제출 |
|
|
|
|
|
접수 및 자격확인 |
|
읍·면·동 |
|
∙ 신청서 접수 ∙ 대상자 여부 확인 (보호자 해당여부, 출생신고일, 전입일 등) |
|
|
|
|
|
지급 대상 결정 |
|
시·군·구·보건소 (총괄담당부서) |
|
∙ 지원 대상자 자격여부 ·지급금액 최종 검토 |
|
|
|
|
|
지급 및 내역관리 |
|
시·군·구·보건소 (총괄담당부서) |
|
∙ 매월 해당 대상자 수당 지급 및 지급 내역 관리 |
충북도,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지원 사업자 공모
- 5월 15일까지 해당 시군구로 신청, 사업대상자 선정시 2년간 최대 10억 원 지원
충청북도는 2023년 밭작물공동경체육성지원사업 대상자를 공모한다고 밝혔다.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지원사업은 밭작물의 소규모 영농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주산지 중심으로 조직화된 공동경영체를 육성하는 사업이다.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지원 사업은 농업경영체의 공동생산 기반시설 확충, 생산·유통비용 절감, 품질 향상 등 산지 경쟁력을 강화하고, 나아가 경영체를 품목별 자조금 단체와 함께 생산과 유통, 자율적 수급조절을 이행할 수 있는 주체로 육성하는 사업이다.
선정된 경영체에는 2년에 걸쳐 파종기·정식기 등 공동영농에 필요한 농기계류, 공동육묘장·공동선별·포장시설·저온저장고 등 고품질 농산물 생산에 필요한 시설·장비, 농업인의 조직화와 역량 강화, 주산지협의체 운영에 필요한 비용 등을 맞춤형으로 지원한다.
지원규모는 전국 19개소 내외로, 1년 차에는 1억5천만 원, 2년차에는 8억5천만 원이 배정되어 개소 당 2년간 10억 원이 지원된다.
충북도는 2017년 괴산 군자농협(수수)을 시작으로 2020년 옥천농협(복숭아), 2021년 남제천농협(브로콜리)을 지원하였으며, 2022년에는 옥산농협(애호박)이 선정되어 올해 2년차 사업을 수행 중에 있다.
신청요건은 농림축산식품부 채소류 주산지 지정 기준 고시 품목 및 원예 농산자조금(의무·임의) 품목 중 해당사업에서 지원하는 품목, 기타 지자체 특화(육성) 원예농산물 품목을 생산·출하하는 농업법인, 농협, 협동조합이다.
해당 신청 품목의 생산·취급액이 10억 원 이상이면서 조직화 취급액이 3억 원 이상이어야 하며, 관할 지자체의 원예산업발전계획에 전략(또는 육성)품목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신청기한은 5월 15일까지로, 사업 희망자는 관할 시·군·구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하면 된다.
충북도는 시·군·구에서 취합된 사업계획서의 적정성 여부를 검토 후, 농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다음달 19일까지 제출할 계획이다.
농식품부에서는 전문가 평가위원회를 구성해 제출된 사업계획서에 대하여 1차 서류평가, 2차 발표평가, 필요시 현장점검 등 사업 추진 역량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오는 10월까지 ’24년 사업대상자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자세한 사항은 충북도 농식품유통과 및 각 시·군 유통부서에 문의하면 된다.
보조자료 |
밭작물공동경영체육성지원
밭작물공동경영체 조건을 갖추고 통합마케팅조직에 참여하는 조직(농업법인, 농협조직, 협동조합)에게 생산자 조직화·규모화를 위한 농기계류, 시설·장비 및 역량강화 등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사업임 ※ 시행연도 : 2017년(공모사업) |
□ 지원개요
○ 사업대상 : 농업법인, 농협조직, 협동조합
○ 지원자격 및 요건
- 원예산업종합계획 수립 및 선정된 지자체
-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제4조, 같은법 시행령 제4조 및 제5조에 따라 고시된 원예농산물(채소류 주산지 지정 품목) 또는 농산자조금(의무·임의자조금) 품목 중에서 해당 사업으로 지원하는 품목
- 지자체에서 지역 특화품목으로 육성하는 기타 원예농산물 품목
- 전년도 기준 경영체의 신청 품목 총 취급액 10억원 이상이면서 조직화취급액 3억원 이상을 충족하는 조직
- 자본금 3억원 이상, 운영실적 2년 이상인 조직
○ 지원금액 : 10억원/개소 *2개년 추진(1년차 15%, 2년차 85%)
○ 대상품목 : 원예농산물 *식량작물(콩, 고구마, 감자, 잡곡 등) 제외
○ 사업내용 : 생산자 조직화·규모화를 위한 시설·장비, 농기계류 및 역량강화
- 역량강화 : 조직화, 교육‧컨설팅 비용(전체 사업비의 5% 이상)
- 생산비 절감 : 공동영농에 필요한 기계류(파종기, 정식기, 방제기 등)
- 품질관리 : 공동선별 및 포장시설 등 시설 건립비(공동선별시설, 저장고 등)
□ 그동안 추진실적
구분 |
사업대상 |
사업비(억원) |
품목 |
세부내용 |
비고 |
계 |
4개소 |
40 |
- |
- |
|
2022년 |
옥산농협(청주시) |
10 |
애호박 |
애호박 선별라인, 시설기반공사, 지게차 |
‘23년 完 |
2021년 |
남제천농협(제천시) |
10 |
브로콜리 |
소포장선별라인, 예냉시설, 저온저장고 |
‘22년 完 |
2020년 |
옥천농협(옥천군) |
10 |
복숭아 |
선별기, 동력운반차, 제초기, 지게차 |
‘21년 完 |
2017년 |
군자농협(괴산군) |
10 |
수수 |
탈곡기,정선기,저온저장고, 집하선별장 |
‘18년 完 |
※ 지원대상 품목(세부내역)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제4조, 같은법 시행령 제4조 및 제5조에 따라 고시된 원예농산물(채소류 주산지 지정 품목) 또는 농산자조금(의무·임의자조금) 품목 중에서 해당 사업으로 지원하는 품목
◦ 지자체에서 지역 특화품목으로 육성하는 기타 원예농산물 품목
* 무, 배추, 마늘, 양파, 고추 지원 품목은 채소류 주산지 지정기준(고시 포함) 요건에 충족되지 않는 경우라도 자조금 지원 품목으로 선택하여 신청 가능
<채소류 주산지 지정 기준(고시 제2022-102호, 시행 ’22.9.30.)>
품목 |
주산지 지정 기준 |
||
지역 |
면적 |
출하량(생산량) |
|
봄배추 |
시‧군‧구 |
150ha 이상 |
7,300t 이상 |
여름배추 |
시‧군‧구 |
450ha 이상 |
20,741t 이상 |
가을배추 |
시‧군‧구 |
120ha 이상 |
11,802t 이상 |
겨울배추 |
시‧군‧구 |
450ha 이상 |
32,899t 이상 |
양배추 |
시‧군‧구 |
210ha 이상 |
9,962t 이상 |
봄무 |
시‧군‧구 |
70ha 이상 |
2,732t 이상 |
여름무 |
시‧군‧구 |
250ha 이상 |
8,537t 이상 |
가을무 |
시‧군‧구 |
150ha 이상 |
11,431t 이상 |
겨울무 |
시‧군‧구 |
1,000ha 이상 |
56,180t 이상 |
고추 |
시‧군‧구 |
500ha 이상 |
1,155t 이상 |
마늘 |
시‧군‧구 |
300ha 이상 |
3,948t 이상 |
양파 |
시‧군‧구 |
190ha 이상 |
12,481t 이상 |
대파 |
시‧군‧구 |
250ha 이상 |
7,197t 이상 |
생강 |
시‧군‧구 |
100ha 이상 |
1,200t 이상 |
당근 |
시‧군‧구 |
100ha 이상 |
3,342t 이상 |
참깨 |
시‧군‧구 |
250ha 이상 |
125t 이상 |
땅콩 |
시‧군‧구 |
100ha 이상 |
266t 이상 |
버섯류 |
시‧군‧구 |
(연면적) 30ha 이상 |
- |
특작류 |
시‧군‧구 |
50ha 이상 |
- |
<농산자조금 지원 품목(2022년 12월 기준)>
구 분 |
지원 품목 |
의무자조금 |
인삼, 백합, 키위, 배, 파프리카, 사과, 감귤, 참외, 절화, 포도, 마늘, 양파, 복숭아, 차 |
임의자조금 |
가지, 오이, 풋고추, 블루베리, 단감, 무·배추, 고추, 딸기 |
함께하면 대박나는「2023 동행축제」시작
- 5. 1.~5. 28.까지 다양한 온·오프라인 채널 통한 할인행사 진행
- 우수제품 판매전, 온라인 Big sale, 공공배달앱 이벤트, 전통시장 이벤트, 지역화폐 혜택 등
충북도와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은 대형 유통업체부터 중소·소상공인, 전통시장, 정부·지자체가 모두 참여하는 상생형 할인행사를 통해 위축된 소비심리를 개선하고자 진행되는 ‘5월 봄빛 동행축제(2023 동행축제)’에 맞춰 다채로운 행사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5월 봄빛 동행축제’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고 정부 부처, 17개 시·도, 지방중소벤처기업청, 국내외 유통사 및 전통시장·상점가 등이 참여하는 국내 최대규모의 중소기업·소상공인 제품 소비 촉진 행사로 5월 1일부터 28일까지 총 28일간 개최된다.
충북도에서도 지역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하여 5월 봄빛 동행축제와 연계한 다채로운 행사를 준비하였다.
먼저 5월 10일부터 12일까지 KTX 오송역(1층)에서 충북 우수 중소기업제품 전시판매전이 진행된다. 뷰티제품, 식품, 생활용품 등 지역에서 생산된 우수제품을 한 곳에서 만나볼 수 있다.
5월 26일부터 28일까지는 진천 농다리 축제장 내에서 지역 우수 제품과 로컬크리에이터의 창업제품을 판매하고 경품행사를 진행하는 특별판매전이 진행되어 지역 축제도 즐기며 지역 우수 생산품도 만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충북도청 서관 1층에서 운영 중인 충청북도 중소기업제품 전시판매장에서도 5월 3일부터 19일까지 입점된 품목을 최대 50%까지 할인 판매하는 가정의 달 특판행사가 진행된다.
지역 온라인몰(청풍명월장터, 한방바이오 제천몰, 음성장터, 진천몰)도 최대 60% 할인과 쿠폰이 지급되고, 충북도 공공배달앱 ‘먹깨비’와 제천시 공공배달앱 ‘배달모아’도 2천원 쿠폰을 지원한다.
전통시장에서도 다양한 행사를 진행한다. 청주 직지시장·사창시장·육거리시장, 제천 내토시장, 영동전통시장, 괴산전통시장, 음성전통시장, 증평장뜰마켓 등 8개 전통시장에서는 복권이벤트, 문화공연, 어린이 체험행사 등이 진행된다.
특히 가정의 달을 맞아 어린이들이 전통시장을 찾아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장보기·만들기 체험과 동요콘서트, 피에로 공연 등 맞춤형 프로그램을 풍요롭게 구성하였다.
가정의 달 지역소비 촉진을 위하여 지역화폐들도 인센티브 확대와 구매 한도 증액을 진행한다. 청주시와 충주시, 제천시는 지역화폐 인센티브를 기존 6%에서 각 7%, 8%, 10%로 확대하고, 옥천군 또한 5월 한시적으로 지역화폐 인센티브를 15%로 확대할 예정이다.
김두환 도 경제통상국장은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채널을 통해 동행축제 행사를 내실 있게 추진하여 지역 경제가 활력을 되찾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히며,
“가정의 달에 진행되는 행사인 만큼 도내 우수 농특산물과 중소기업·소상공인 제품으로 소중한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담은 선물을 전하고, 가족들과 지역축제장, 전통시장 등에도 많이 방문해 주시기를 적극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붙임1 |
|
2023년「5월 봄빛 동행축제」충북도 행사내용 |
➊ 오프라인 소비촉진 행사
항 목 |
주요내용 |
충북 우수 중소기업제품 판매전 |
‣ 행사기간 및 장소 : ’23. 5. 10.(수) ~ 12.(금), KTX 오송역 1층 ‣ 주 관 :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도· 기업진흥원 등 협조) ‣ 판매품목 : 화장품, 생활용품, 가공식품 등 지역 생산 우수제품·특산품 ‣ 기 타 : 구매고객 대상 경품지급 |
진천 농다리축제 연계 판매전 |
‣ 행사기간 및 장소 : ’23. 5. 26.(금) ~ 28.(일), 진천군 문백면 ‣ 주 관 :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도·진천군·창조경제혁신센터 협조) ‣ 지역 우수 중소기업 및 로컬크리에이터 창업제품 판매, 경품행사 |
중소기업제품 전시판매장 |
‣ 행사기간 : ’23. 5. 3.(수) ~ 19.(금) ‣ 주 관 : 충청북도 ‣ 행사장소 : 충북 중소기업제품 전시판매장(도청점) ‣ 건강식품, 화장품, 생활용품 등 100여개 품목 최대 50% 할인 |
➋ 전통시장
(지역) 시장명 |
주요내용 |
(청주시) 직지시장 육거리시장 사창시장 |
[직지시장] ‣ 전통시장 장보기 체험(’23. 5. 15.~5.30.) - 어린이집과 연계한 전통시장 장보기 체험 (어린이 100명 대상 5천원권 상품권 지급) ‣ 어린이 체험행사 운영(’23. 5. 15. ~ 30.) - 머그컵 만들기, 시장바구니 만들기, 팔찌 만들기 등 - 달고나, 솜사탕 등 먹거리 만들기 [육거리시장, 사창시장] * 5월 초까지 행사내용 확정 예정으로 추후 별도 안내 |
(제천시) 내토시장 |
‣ 가정의 달 고객사은 복권이벤트(’23. 5. 4. ~ 6.) - 3만원 이상 구매 고객 대상 즉석복권 1매 지급, 당첨 시 온누리상품권 교환(5천원~5만원) ‣ 시장통방송국 가정의 달 특집 방송(’23. 5. 4. ~ 6.) - 가족 주제 음악, 사연 방송채택 시 5천원권 상품권 지급 ‣ 5월 동심콘서트(’23. 5. 6.) - 어린이공연단 바이올린 공연, 동요콘서트 등 |
(영동군) 전통시장 |
‣ 전통시장 이용 할인쿠폰 지급(’23. 5.) - 5만원 이상 구매 고객 대상 영동사랑상품권(시장에서만 사용) 지급 ‣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문화공연(’23. 5. 11.) - 삐에로 및 공연팀 공연, 어린이 체험 프로그램 등 |
(음성군) 전통시장 |
‣ 전통시장 이용객 영수증 이벤트(’23. 5.) - 구매고객 대상 즉석복권 1매 지급, 당첨 시 5천원 상당 경품 지급 |
(지역) 시장명 |
주요내용 |
(괴산군) 전통시장 |
‣ 키즈마켓데이(’23. 5. 13.) - 어린이집과 연계한 전통시장 장보기 체험 (어린이 100명 대상 5천원권 상품권 지급) ‣ 에코백 장바구니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 운영 |
(증평군) 장뜰시장 |
‣ 프리마켓과 함께하는 동행축제(’23. 5. 13.) - 시장 자체 문화여권 연계 스탬프투어 및 체험 (파우치 만들기, 구슬팔찌 만들기 등) ‣ 증평문화여권과 함께하는 어린이 장보기 체험(’23. 5. 13.) - 시장 자체 문화여권과 연계하여 어린이집 어린이 400명을 대상으로 온누리상품권 5천원권을 지급하여 장보기 체험 |
➌ 온라인 소비촉진 행사
항목 |
주요 내용 |
온라인몰 |
‣ 청풍명월장터 : 기획전(최대 30% 할인) 구매자 추첨 사은품 증정 이벤트 ‣ 한방바이오제천몰 : 기획전(최대 60% 할인) ‣ 음성장터 : 기획전(최대 30% 할인) ‣ 진천몰 : 전 상품 할인쿠폰(8%) 최대 3매/인 지급 행사 |
우수 중소기업제품 특별판매전 |
‣ 행사기간 : ’23. 5월 중 ‣ 진행매체 : 쿠팡, 위메프, 티몬, 롯데 ON ‣ 충북 우수중소기업제품 특별판매전 진행(할인쿠폰 지급 예정) |
라이브커머스 |
‣ 행사기간 : ’23. 5월 중 ‣ 진행매체 : 위메프, 티몬 ‣ 위메프, 티몬 입점 중소기업 라이브커머스 진행(4월 중 업체 선정) |
TV홈쇼핑 방송 |
‣ 행사기간 : ’23. 5월 중(15일, 29일 잠정) ※ 일정변동 가능성 有 ‣ 진행매체 : 홈앤쇼핑 |
공공배달앱 |
‣ 행사기간 : ’23. 5월 중 ‣ 진행매체 : 먹깨비(충북도), 배달모아(제천시) ‣ (먹 깨 비) 가정의 달 2천원 쿠폰 지급 이벤트(’23.5.5.~예산소진 시까지) (배달모아) 선착순(200명 대상) 2천원 할인쿠폰 지급 이벤트 |
➍ 기타
항목 |
주요 내용 |
||||||||||||||||||||||||||||||||||
지역화폐 |
|
||||||||||||||||||||||||||||||||||
기타 소비촉진 방안 |
‣ 착한가격업소 - 이용고객 할인이벤트(1만원 할인권 지급) - SNS 홍보 이벤트(편의점 음료쿠폰 지급) |
지역농산물 직매장 관계자 연찬회 개최
- 특강, 사례발표 통해 직매장 활성화 방안 모색해 -
충북도는 28일 농협 충북지역본부에서 도내 지역농산물 직매장 관계자 30명이 참석한 가운데 업무역량 강화와 직매장 운영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연찬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연찬회는 지역파트너플러스 정천섭 대표가 특강을 통해 수요자 중심의 다품목 연중 생산 체계를 만들기 위한 농가 조직화와 기획생산 방법을 사례 중심으로 강의하였고, 이어 도내 직매장 중 매출액이 가장 많은 옥천직매장을 운영하는 최승일 센터장이 운영사례를 공유하였다.
‘얼굴있는 먹거리’라고 불리는 지역농산물을 판매하는 직매장은 2012년 완주 용진농협을 시작으로 지금은 전국적으로 850개소, 도내에도 단양을 제외한 10개 시군에서 37개의 매장이 운영되고 있다.
한편, 충북도는 지난 달에 실시한 직매장 운영실태 조사결과와 이번 연찬회 참석자들의 건의사항을 수렴해 5월중 지역농산물 직매장 활성화를 위한 세부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직매장이 활성화되어 생산자는 안정적인 판로처를 확보하고, 소비자는 신선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합리적인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소비처가 되기를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참고자료-1 |
로컬푸드 직매장 운영자 워크숍 개최
행사개요
❍ 일 시 : ’23. 4. 28.(금) 13:30 ~ 16:30
❍ 장 소 : 농협경제지주 충북지역본부 6층 중회의실
❍ 참석인원 : 40명 정도(직매장 운영자 30, 공무원 10)
❍ 주요내용
- 로컬푸드 직매장 전문가 특강을 통한 운영자 역량강화 도모
- 직매장 사례발표와 분임토의를 통한 직매장 활성화 방안 모색
- 참석자 건의 및 애로사항 등 의견수렴
세부일정
세부시간 |
주요내용 |
비 고 |
|
13:00~13:30 |
30‘ |
참가자 등록 |
|
13:30~13:35 |
5‘ |
참석자 소개 및 인사말씀 |
농식품유통과장 |
13:35~14:55 |
80‘ |
「로컬푸드 직매장 실무자 역량강화」 강의 - 로컬푸드 관련 정책, 출하농가 관리 - 로컬푸드 직매장 마케팅 및 고객 응대 |
지역파트너플러스 정천섭 대표 |
14:55~15:05 |
15‘ |
휴식 |
|
15:05~15:40 |
35‘ |
옥천로컬푸드 직매장 운영 사례발표 |
최승일 센터장 |
15:40~16:10 |
30‘ |
분임토의(20‘) 및 결과발표(10’) |
4개조 운영 |
16:10~16:30 |
20‘ |
참석자 건의 및 애로사항 등 의견수렴 |
|
16:30 |
|
해산 |
|
향후계획
❍ 로컬푸드 직매장 운영활성화 세부계획 수립·추진 : 5월중
- 상반기 직매장 운영실태조사(3.23~4.19), 우수 인증 직매장 벤치마킹(4.6~4.7), 워크숍(4.28)을 통해 발굴된 우수사례 및 건의사항 반영
❍ 로컬푸드 활성화로 공공(학교)급식 중심의 신선하고 안전한 지역 내 먹거리 선순환 공급체계 마련
참고자료-2 |
충북 로컬푸드 직매장 현황
37개소 (청주 7, 충주 4, 제천 4, 보은 1, 옥천 5, 영동 2, 증평 1, 진천 5, 괴산 2, 음성 6)
* 전국 850 개소 (충북 4%)
참여농가 : 5,223호, 매출액(‘22) : 310억원 *농협 26, 이외 11
시군 |
설치 년도 |
사 업 장 명 |
규모 (㎡) |
참여 농가 |
설 치 비 (백만원) |
매출액(백만원) |
||||||
합계 |
국비 |
도비 |
시군비 |
자담 |
2020 |
2021 |
2022 |
|||||
10시군 |
37개소 |
3,800 |
5,223 |
7,365 |
1,363 |
526 |
2,822 |
2,654 |
24,113 |
27,772 |
30,986 |
|
청주 (7) |
2015 |
낭성로컬푸드직매장 |
50 |
200 |
72 |
- |
- |
60 |
12 |
975 |
1,201 |
1,411 |
2016 |
오창농협직매장 |
100 |
80 |
370 |
111 |
- |
- |
259 |
835 |
1,031 |
1,589 |
|
2016 |
두꺼비살림직매장 |
110 |
65 |
63 |
- |
- |
50 |
13 |
540 |
691 |
512 |
|
2017 |
청주농협직매장 |
100 |
160 |
96 |
- |
- |
- |
96 |
1,023 |
998 |
1,174 |
|
2017 |
강내농협직매장 |
165 |
196 |
306 |
90 |
- |
90 |
126 |
2,165 |
2,650 |
2,319 |
|
2017 |
청남농협직매장 |
190 |
155 |
358 |
107 |
- |
150 |
101 |
989 |
272 |
266 |
|
2019 |
청원애로컬푸드직매장 |
82 |
84 |
68 |
- |
- |
34 |
34 |
100 |
60 |
54 |
|
충주 (4) |
2019 |
주덕농협직매장 |
33 |
35 |
77 |
- |
- |
- |
77 |
242 |
333 |
338 |
2021 |
동충주농협직매장 |
17 |
55 |
30 |
- |
- |
- |
30 |
- |
60 |
120 |
|
2021 |
충주농협(호암점) |
17 |
46 |
35 |
- |
- |
- |
35 |
- |
78 |
258 |
|
2021 |
충주농협(탄금대점) |
17 |
46 |
25 |
- |
- |
- |
25 |
- |
20 |
380 |
|
제천 (4) |
2016 |
제천단양축협직매장 |
252 |
180 |
330 |
99 |
- |
- |
231 |
2,374 |
2,406 |
2,666 |
2019 |
제천로컬푸드직매장(이마트) |
8 |
514 |
83 |
- |
- |
83 |
- |
461 |
476 |
582 |
|
2021 |
제천로컬푸드직매장(1호점) |
156 |
514 |
235 |
- |
- |
235 |
- |
- |
550 |
844 |
|
2022 |
제천로컬푸드직매장(베론점) |
64 |
232 |
60 |
- |
- |
60 |
- |
- |
- |
152 |
|
보은 |
2019 |
보은농협직매장 |
123 |
156 |
45 |
- |
- |
20 |
25 |
430 |
594 |
605 |
옥천 (5) |
2013 |
옥천푸드직매장 |
32 |
359 |
- |
- |
- |
- |
- |
495 |
538 |
119 |
2019 |
옥천로컬푸드직매장 |
497 |
359 |
1,510 |
800 |
450 |
260 |
- |
3,786 |
5,144 |
5,861 |
|
2021 |
안남로컬푸드직매장 |
66 |
40 |
700 |
- |
- |
700 |
- |
- |
73 |
80 |
|
2021 |
옥천농협직매장 |
33 |
50 |
- |
- |
- |
- |
- |
- |
43 |
127 |
|
2022 |
청성로컬푸드직매장 |
110 |
12 |
150 |
- |
31 |
74 |
45 |
- |
- |
10 |
|
영동 (2) |
2020 |
영동농협직매장 |
197 |
126 |
319 |
- |
- |
150 |
169 |
198 |
509 |
580 |
2022 |
황간농협직매장 |
161 |
44 |
484 |
- |
- |
225 |
259 |
- |
- |
266 |
|
증평 |
2019 |
증평농협직매장 |
143 |
144 |
500 |
150 |
45 |
105 |
200 |
1,253 |
1,405 |
1,698 |
진천 (5) |
2014 |
진천농협직매장 |
227 |
219 |
43 |
6 |
- |
- |
37 |
4,489 |
4,029 |
3,922 |
2019 |
덕산농협직매장 |
48 |
64 |
40 |
- |
- |
20 |
20 |
157 |
210 |
225 |
|
2019 |
광혜원농협직매장 |
26 |
43 |
62 |
- |
- |
- |
62 |
180 |
198 |
194 |
|
2019 |
진천축협직매장 |
100 |
113 |
- |
- |
- |
- |
- |
1,000 |
914 |
819 |
|
2019 |
이월농협직매장 |
15 |
131 |
34 |
- |
- |
- |
34 |
120 |
170 |
180 |
|
괴산 (2) |
2019 |
괴산농협직매장 |
42 |
37 |
30 |
- |
- |
- |
30 |
177 |
155 |
225 |
2019 |
괴산순정농부직매장 |
130 |
190 |
- |
- |
- |
- |
- |
- |
402 |
340 |
|
음성 (6) |
2015 |
음성농협직매장 |
145 |
224 |
501 |
- |
- |
237 |
264 |
1,638 |
1,827 |
1,618 |
2019 |
맹동농협직매장 |
92 |
94 |
142 |
- |
- |
71 |
71 |
383 |
425 |
418 |
|
2019 |
대소농협직매장 |
36 |
46 |
90 |
- |
- |
- |
90 |
87 |
81 |
86 |
|
2020 |
생극농협직매장 |
33 |
35 |
106 |
- |
- |
- |
106 |
16 |
31 |
39 |
|
2021 |
삼성농협직매장 |
63 |
74 |
201 |
- |
- |
98 |
103 |
- |
118 |
243 |
|
2021 |
금왕농협직매장 |
120 |
101 |
200 |
- |
- |
100 |
100 |
- |
80 |
666 |
충북보건환경연구원, 먹는물 등 담당 공무원 실무 교육 실시
- 정확한 시료채취를 위한 현장 중심의 전문기술 전달 -
충청북도보건환경연구원(원장 김종숙)은 지난 4월 27일 연구원 대회의실에서 먹는물, 지하수 수질관리 도, 시·군 공무원을 대상으로 시료채취 방법 등 실무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신뢰성 있고 정확한 먹는물 등 시료채취를 위해 담당자의 업무역량을 강화하고자 마련됐으며, 도내 담당 공무원 27명이 참석 하였다.
주요 교육내용은 먹는물, 지하수 시료채취 방법, 관련법규 등 이론과 시료채취 순서, 보관, 운송 실습 과정과 수질 조사항목에 대한 측정방법, 시료채취기록부의 작성 등 현장 중심의 전문기술도 교육했다.
신현식 환경연구부장은 “정확한 수질검사의 첫 단계는 시료채취인 만큼 일선 담당 공무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