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4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충청북도

충북도, 폭염 특보기간(7.21.~8.3.) 대처상황 보고(최종)

 

 

폭염 특보기간(7.21.~8.3.) 대처상황 보고(최종)

- 2025. 8. 4.() -

재난안전실

자연재난과

 

 

폭염특보 발효현황(7.21.~8.3.)

 

발효시각

폭염특보

발효시군

비고

07.21.(10:00)

주의보

청주, 충주, 제천, 옥천, 영동

 

07.22.(10:00)

주의보

보은, 증평, 진천, 괴산, 음성, 단양

 

07.24.(16:20)

경보(변경)

청주, 충주, 제천, 보은, 옥천, 영동, 괴산, 음성

 

07.25.(10:00)

경보(변경)

증평, 진천, 단양

 

08.03.(16:30)

주의보(변경)

도내 11개 전 시군

 

08.03.(20:30)

해제

도내 11개 전 시군

 

 

 

 

 

주요 대처현황

 

 

(상황관리)

 

비상근무

기간

근무 기간

총 근무 인원

초기대응단계

7.21.() 10:30~7.24.() 17:20

4

40

비상2단계

7.24.() 17:20~7.25.() 10:20

2

44

비상3단계

7.25.() 10:20~8.3.() 17:00

10

340

초기대응단계

8.3.() 17:00~8.3.() 18:00

1

10

 

(주요활동)

 

구 분

민감대상 보호활동

폭염저감시설 운영

홍보

지 역

방문

전화

그늘막 운영

살수차 운영

전광판

()

마을·가두방송
()

문자서비스

()

누계

63,992

178,907

1,080

718

1,334

5,461

107,936

7.21.~8.3

33,605

107.648

1,080

460

646

963

105,018

 

 

 

피해 현황

 

폭염대책(5.15.)부터 집계

 

(인명피해) (단위 : )

 

구 분

합 계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기타

사망

누계

163

15

129

11

6

2

-

7.21.~8.3.

96

2

82

8

3

1

-

 

 

(축수산 및 농작물피해)

 

구분

가축피해(단위: 마리)

수산피해(단위 : )

농작물피해(단위: ha)

오리

돼지

기타

(메추리)

송어

인삼

배추

사과

복숭아

기타

누계

205,503

196,718

5,222

1,363

-

2,200

-

-

-

-

-

-

-

-

7.21.~8.3.

156,287

152,062

862

1,163

-

2,200

-

-

-

-

-

-

-

-

 

 

 

(주요지시 및 점검)

- 여름철 무더위쉼터 중앙·민간 합동점검(7.22., 청주, 제천, 보은, 진천, 음성)

- 폭염대응 충청북도재난안전대책본부장 특별지시(7.24.)

- 중앙재대본부장 특별지시(7.25.)

- 폭염 대비 무더위쉼터 방문점검(7.25. 행정부지사-청주, 재난안전실장-옥천)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 특별지시(7.28.)

- 폭염대응 충청북도재난안전대책본부장 특별지시(7.29.)

- 대통령 말씀사항(7.29.)

- 폭염 대비 무더위쉼터 방문점검(7.30. 도지사-청주, 행정부지사-제천)

 

 

 

 

폭염대응 도지사 지시사항 (7.24.)

 

 

 

 

폭염 인명피해가 없도록 상황관리 철저

폭염에 따른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을 상대로 유·무선 확인 및 방문서비스를 통해 사고예방 철저(취약계층 건강상태 수시 모니터링)

건설·택배·배달·야외현장 근무자, 농업인 등 폭염취약 근로자를 상대로 폭염 대응 예방교육 및 홍보 강화 및 폭염 특보 발효 시 작업시간 조정, 2시간 이내 작업·20분 이상 휴식시간 부여

공연·체육행사·지역축제 등 야외행사장 폭염예방수칙 준수 등 안전관리 강화

무더위쉼터 등 실내 냉방기 가동여부 확인 등을 통해 적정온도 유지 방안 마련 및 운영관리 점검

심야 폭염(열대야) 대응을 위한 야간 쉼터 운영 적극 검토

가축피해 예방을 위한 적정 사육밀도, 냉방시설 체크 등 농가 현지 점검 강화 및 소방차나 가축방역 차량 등을 활용하여 급수 실시

인명사고 발생에 대비한 응급의료 지원체계 완비

재난문자, 전광판, 마을방송, SNS 등을 통해 지속적 폭염대응 행동요령 홍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 지시사항(7.25.)

 

 

 

지속되는 폭염으로 온열질환자 발생이 우려되는 만큼, 폭염 취약계층 대상 안전확인 및 보호조치를 강화할 것

- 노인, 농업인 등 폭염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이·통장, 지역자율방재단, 상담소 등 통해 예찰활동을 강화하고, 예방물품 지원 등 보호대책 추진 철저

- 공사장 등 야외 근로자의 작업장과 다중운집인파 행사 등에서 온열질환 예방 수칙 준수 여부 등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무더위쉼터 이용 국민들의 불편이 없도록 지속 점검·관리하고, 무더위쉼터 및 폭염저감시설을 철저히 운영할 것

냉방기 사용 증가에 따른 화재 주의, 전력 수급관리 철저히 할 것

농축산수산물 관계부서에서는 농축산수산물의 폭염 피해 예방에 만전을 기할 것

재난문자·방송, 마을방송 등 가용 매체를 활용하여 온열질환 대처요령 등 폭염 행동요령을 국민께 안내할 것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 지시사항(7.28.) >

 

 

 

 

 

산불과 호우 피해 이재민이 폭염으로 인한 2차 피해를 입지 않도록 건강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

- 호우 피해 복구 및 수색 인력이 온열질환에 노출되지 않고, 활동에 불편함이 없도록 최대한 지원 할 것

폭염에 취약한 노숙인, 취약 어르신 등에 대한 예찰활동 강화하는 등 세심하게 보살필 것

- 야외 근로자 보호를 위해 충분한 휴식시간이 보장되도록 적극적으로 지도·감독할 것

본격적인 휴가철 맞이하여 수상안전 사고 및 여름 축제·공연장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하게 관리 할 것

축산 농가에 지원한 폭염 대책비 등을 신속하게 집행하여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관리할 것

- 양식업 피해도 발생되지 않도록 다시 한번 살펴 볼 것

도로·철도 등 기반시설 피해와 전력공급 중단으로 인해 국민들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선제적인 점검 할 것

무더위쉼터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수시로 점검하는 등 운영에 철저를 기할 것

국민들께서 폭염으로 인한 증상을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대처요령 등도 적극적으로 안내할 것

 

 

 

폭염대응 충청북도재난안전대책본부장 지시사항 (7.29.)

 

 

 

 

폭염 인명피해가 없도록 상황관리 철저

도 및 시·군 산하기관 및 읍면동까지 발주공사 관리 철저 및 노동부 가이드라인 준수 철저

건설·택배·배달·야외현장 근무자, 농업인 등 폭염취약 근로자를 상대로 폭염 대응 예방교육 및 홍보 강화 및 폭염 특보 발효 시 작업시간 조정, 2시간 이내 작업·20분 이상 휴식시간 부여

자활근로자, 밥퍼, 도시농부, 일하는기쁨 등 도내 프로그램별 일자리사업 온열질환자 생기지 않도록 대비 철저

외국인 근로자가 많은 음성, 진천 등 안전한 근로환경 조성

폭염에 따른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을 상대로 유·무선 확인 및 방문서비스를 통해 사고예방 철저(취약계층 건강상태 수시 모니터링)

인명사고 발생에 대비한 응급의료 지원체계 완비

공연·체육행사·지역축제 등 야외행사장 폭염예방수칙 준수 등 안전관리 강화

폭염특보 시 시군 및 공공기관 관리 실외 체육시설 대여제한 적극 검토

무더위쉼터 등 실내 냉방기 가동여부 확인 등을 통해 적정온도 유지 방안 마련 및 운영관리 점검

심야 폭염(열대야) 대응을 위한 야간 쉼터 운영 적극 검토

가축피해 예방을 위한 적정 사육밀도, 냉방시설 체크 등 농가 현지 점검 강화 및 소방차나 가축방역 차량 등을 활용하여 급수 실시

전력관리 철저히 하여 정전에 대한 복구 속도를 높이고 피해주민들 무더위쉼터 유도 안내 등 홍보

재난문자, 전광판, 마을방송, SNS 등을 통해 지속적 폭염대응 행동요령 홍보

수난사고 예방을 위한 수상안전사고 빈번한 장소 내 안내표지판 설치(경각심 문구 적용) 및 예찰활동 철저

 

 

 

 

대통령 말씀사항(7.29.)

 

 

 

 

관련 부처는 국가적 비상사태라는 각오를 가지고 가용인력, 예산, 역량 총동원하여 피해 최소화할 것

취약계층 지원이나 특히 야외에서 일하는 노동자에 대한 보호할 것

농가 피해 예방 및 물가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

 

 

향후 계획

 

 

기상상황 지속적인 모니터링 폭염대비 홍보·상황관리 철저

 

참고

 

온열질환 발생자 세부현황

 

질환별

 

구분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열부종

기타

누계

163

15

129

11

6

-

2

7.21.~8.3.

98

2

83

8

4

-

1

 

군별

 

구분

청주

충주

제천

보은

옥천

영동

증평

진천

괴산

음성

단양

누계

163

76

6

14

8

20

-

4

16

4

6

9

7.21.~8.3.

98

52

3

12

4

12

-

1

7

-

4

3

 

발생장소별

 

구분

실 외

실 내

소계

작업장

운동장

(공원)

/

강가

길가

주거지

주변

기타

소계

건물

작업장

기타

누계

163

132

54

12

27

4

-

14

4

17

31

5

4

18

4

7.21.~8.3.

98

79

36

8

12

1

-

12

2

8

19

1

3

11

4

 

성별 연령별

 

구분

성 별

연 령 별

0-9

10-19

20-29

30-39

40-49

50-59

60-69

70

누계

163

134

29

-

4

17

21

25

29

32

35

7.21.~8.3..

98

81

17

-

2

11

14

14

18

20

19

 

 

전국 발생현황(8.3.기준) : 3,139(사망19) * 서울3, 부산1, 인천1, 경기5, 충남4, 전북1, 경북3, 경남1

참고) 24년 발생현황 : 전국 3,704(사망34), 196(사망1)

 

 

 

<질환별 증상>

 

 

 

- (열사병) 중추신경 기능장애(의식장애/혼수상태), 땀이 나지 않아 건조하고 뜨거운 피부(신체온도 40이상), 심한 두통 / 오한, 빈맥, 빈호흡, 저혈압

- (열탈진) 체온은 정상 혹은 상승(40), 땀을 많이 흘림(과도한 발한), 극심한 무력감과 피로, 창백함, 근육경련, 오심 또는 구토

- (열경련) 근육경련(어깨, , 다리, 복부, 손가락)

- (열실신) 실신(일시적 의식소실), 어지러움증

- (열부종) , 발이나 발목의 부종

- (기 타) 기타 열 및 빛의 영향, 상세불명의 열 및 빛의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