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의 기운을 차지하는 자. 왕이 되려는 자. 땅을 차지하다. 영화 '명당'을 통해 조선말 혼돈의 역사 속으로 들어가겠습니다. 땅의 운명을 통해 인간의 운명을 바꿀 수 있다는 풍수사상과 명당을 차지하기 위한 인간의 욕망을 다룬 펙션사극 영화 '명당'은 정조대왕의 죽음으로 시작되는 19세기 조선의 운명이 세도정치 안동(장동)김씨, 풍양 조씨를 중심으로 약 60여년 권력독점 현상으로 이어집니다. 영화는 안동(장동)김씨 가문의 번영이 천하명당을 얻어 가능했고 주인공 천재지관 재상(조승우)은 김씨 가문 묫자리 비밀을 밝혀 흉역을 주려는 복수극으로 시작됩니다. 세도정치는 순조, 헌종, 철종 3대동안 약화된 왕권을 밟고 권력을 농단하여 조선말기 백성들의 피를 먹고 꽃을 피웁니다. 영화는 권력을 가진 자와 권력을 가지려하는 자의 대립에 맞춰져있어 백성들 고통이 얼마나 심했는지를 알수 없습니다. 다만 명당을 차지한 흥선군을 통해 권력이 움직여지는 모습까지 그려냈습니다. 흥선군 권력행사를 살펴보면 흥선군은 명당 2대천자지지인 가야사 금탑자리를 차지하고 7년후 둘째 명복 훗날 고종 출생하고 11년후 조선 26대 왕으로 등극시킵니다. 세도정치를 꺽고 백성들 피페한 삶을 회복하며
보도자료 (9월30일) 자료제공 : 충북수필문학회 작 성 자 : 사무국장 강전섭 문 의 처 : 010-2412-3744 제25회 충북수필문학상에 신금철 수필가 선정 충북수필문학회(회장 김진웅)는 신금철 수필가(사진)를 2018년 제25회 충북수필문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이 상은 지역수필가의 창작 의욕을 높이고 수필문학의 질적 향상을 위해 제정돼 매년 시상하고 있다. 김홍은 심사위원장은 “수상작품인 은 수필문학의 정수(精髓)를 일관하는 노련미로 숲에서 인간의 삶을 유추하는 그 의미를 생태적 심리로 이끌어내고 있음이 인지된다. 자연을 통하여 지난날을 회상하며 부족함을 숲에서 깨닫고 있다고 표현했고, 는 손자의 체험을 통하여 생명의 탄생과 죽음이라는 양분된 인식을 깨닫게 되는 이치를 발견한다. 호랑나비의 생명을 소중하게 여기고 사랑하는 것은 어린 손자가 인류의 생명존중에 앞장서는 훌륭한 과학자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깃들어 있다.”고 평했다. 올해 수상자 신금철 수필가는 음성출신으로 청주교육대학을 졸업하고 오랜 기간 교사로 재직했다. 2000년 한국문인으로 등단해 현재 청주문인협회, 충북문인협회, 충북수필문학회원, 무심수필문학회 회장, 청주
http://moonsoyoung.com/221176302496 http://moonsoyoung.com/221176302496
안녕하세요 여러분 즐거운 토요일 보내고 계시나요? 오늘은 마르크 샤갈의 영원의 정원 특별전에 대해서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샤갈의 색감을 굉장히 좋아해서 이번 봄나들이로도 추천드리고 싶어요. 미술 전시회 일정에 대해서 궁금하고 막막하신 분들은 오늘 추천해드리는 마르크 샤갈의 전시회는 마르크 샤갈의 수많은 작품들 중 엄선된 특별한 작품을 선보입니다. 마르크 샤갈은 러시아 출생의 프랑스 화가로 피카소, 마티스, 미로, 고갱 등과 함께 20세기 사상 가장 위대한 화가 중의 한 명으로 인류의 예술관에 중대한 기여를 한 선두적인 개혁가로 평가받고 있죠! 마르크 샤갈의 시적이고 구성적인 스타일이 센세이션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긴 생애 동안 발표한 다양한 작품들은 그를 전 세계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예술가로 만들었는데요 많은 화가들이 추상에 이르게 되는 야심찬 실험을 추구했던 반면, 샤갈은 야수파와 입체파의 아이디어를 흡수하면서 구상화가 가진 힘에 대해서 멋진 분위기를 선보였습니다. 색깔의 마스터 샤갈의 작품들은 색의 강도와 톤을 통해 그림의 내용을 이야기하는데요! 파랑, 초록, 빨강 또는 노랑은 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환상적인 분위기를 선보이기도 합니다.
김정희_2017 Thing-P012_mixed media_194x339cm_2017.jpg 2018 청주시립대청호미술관 하반기 기획전시展 개막 ◎ 2018년 청주시립대청호미술관 하반기 기획전 展 개막 ☞ 2014-2018 로비·조각공원 프로젝트 성과 보고 형식의 현대미술 전시 展을 2018. 9. 21.(금) ~ 2019. 1. 13.(일) 개최함 ☞ 전시를 기념하여 이달 9.28(금) 오후 5시 대청호미술관 3층 옥상 라운지에서 개막행사 진행 ○청주시립미술관 분관으로 운영하고 있는 대청호미술관(관장 홍명섭)은 2018년 하반기 기획전 ‘2014-2018 대청호미술관 로비·조각공원 프로젝트’성과보고전 展(전)이 추석 연휴 전날인 9월 21일(금)에 개막한다. ○ 展은 2014년도부터 대청호미술관의 전시장 외 공간에서 창조적이고 다양한 실험을 했던 ‘2014-2018대청호 로비·조각공원 프로젝트’ 참여 작가를 재조명하고, 프로젝트 아카이브 자료를 함께 전시한다. 이는 대청호미술관의 전시운영에 주요한 역할을 해왔으나, 제대로 조명을 받지 못하고 가장자리 역할을 해왔던 프로젝트의 행
[공감신문] 결실의 계절, 가을이 찾아왔다. 지난여름 전국을 지글지글 끓게 했던 무더위도 드디어 기세가 꺾였다. 맑게 갠 푸른 하늘과 살랑살랑 불어오는 시원한 바람, 적당한 햇볕까지. 그래, 이 정도는 돼야 사람이 살 만하지 라는 생각이 절로 드는 요즘이다. 밖으로 한 발만 내딛어도 녹아내릴 것 같은 폭염에 집순이·집돌이를 자청했던 것도 벌써 옛말이 됐다. 이렇게 날이 화창한데 주말을 집에서만 보내는 건 왠지 예의가 아닌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막상 떠나려고 보면 어디로 향해야 할지 고민이 되는 것도 사실이다. 떠나고 싶은 해외여행지는 이미 머릿속에 리스트로 정리가 돼 있지만, 국내 여행은 어디가 좋은지 오히려 잘 모르겠고 말이다. 이왕 맘먹고 떠나는 거 그저 그런 데 말고, 좀 더 특별한 추억을 남기고 싶은 것도 한 마음일 것이다. 그래서 오늘 공감신문 알쓸다정에서는 국내에서 열리는 가을 축제 몇 가지를 소개해드리고자 한다. 이번 가을 여행은 내 취향에 꼭 맞는 축제가 열리는 바로 그 곳으로 떠나보는 건 어떨까. ● 문화의거리 치맥축제 2018 - 위치 : 강원도 원주시 원주 문화의거리 일원 - 일시 : 2018년 9월 12일(수) ~ 9월
이용택 초대전 갤러리 자인제노(종로구 창성동130-5) 2018.10.1~ 10.10 * 이용택(李容澤, Lee Yong Taek) 초대전: 1. 일시 : 2018. 10. 1(월)~10. 10(수) 2. 장소 : 갤러리 자인제노(03043 서울시 종로구 자하문로 10길 9-4) Phone. 02 737 5751 Fax. 02 735 5751 3. 전시 주제 : 일로연과도(一路連科圖) 연작 6. 출품수 : 20점 7. 이용택 경력 :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동대학원 졸업 - (개인전) 서울, 청주, 일본, 뉴질랜드, 미국 등에서 16회 개인전 - (단체전) 서울, 일본, 뉴질랜드, 미국, 중국, 멕시코 등에서 약 230여회의 초대전, 기획전, 단체전에 출품 - 현재 청주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 * 23년만의 서울 개인전 : - 23년전 서울의 갤러리 마을에서 개인전을 개최한 이후 23년만의 개인전 서울에서 다시 개최 - 그동안 국내외에서의 수많은 개인전, 단체전을 통해 꾸준히 활동한 작가가 23년만의 서울 개인전 발표는 “혼란했던 젊은 시절의 격동적인 작품과 달리, 차분하고 원숙한 철학적 바탕 위에 쌓은 작품을 오랜만에 서울에서 발표하는
납작한 가장자리전 (대청호미술관) 9월21일~2019년1월13일 참여작가 1전시실 : 김정희 김창환 윤덕수, 황명수 2전시실 : 이자연 엄익훈 진희웅 3전시실 : 신혜정 이상홍 주혜령 아카이브 : 참여작가 및 추연신, 마유미모토지마 2018 하반기 기획전 2014-2018 로비 ㆍ조각공원 프로젝트 성과보고전 2018 대청호미술관 하반기 기획전시로 대청호미술관의 전시장 외의 공간에서 창조적이고 다양한 실험을 했던 ‘대청호 로비·조각공원 프로젝트’참여작가를 재조명하고, 그간의 프로젝트 성과 보고 형식의 전시 을 운영한다. ‘대청호 로비·조각공원 프로젝트’는 2014년 전시의 프로젝트로 출발하여, 약 4년의 시간동안 총 12명의 작가 /팀이 참여하였다. 이 프로젝트의 배경은 청원군 시절 충북권 최초로 개관한 공립미술관인데도 불구하고 과도하고 장식적인 인테리어와 이로 인해 생긴 유휴공간이 발생하면서, 현대미술전시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써 많은 아쉬움을 가지고 있었던 상황이었다. ‘로비·조각공원 프로젝트’는 대청호미술관의 공간 중에서 불필요하고, 주목하지 않았던 납작한
판화가 김준권 - 나무에 새긴 35년(오프닝 9월 7일 금 오후3시)
[예총] 2018 예술문화대제전 * 링크주소 : 한국예총 홈페이지 예술문화대제전 http://www.yechong.or.kr/09/artsFestivalIntro.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