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23년 재해예방사업 1,555억원 확보 전국 최상위권
- 전년대비 11%(158억원) 증액된 역대 최다 확보액
충청북도는 ‘23년도 행정안전부 소관 재해예방사업(풍수해 생활권 종합정비, 재해위험개선지구, 재해위험저수지, 급경사지)으로 총 100지구 1,555억원의 사업비를 반영해 국비 777억원을 확보했다고 4일 밝혔다.
이는 ‘22년 확보한 사업비 1,397억원 보다 11%(158억원) 증액된 1,555억원(국비 777)으로 역대 가장 많이 확보한 금액으로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4번째이다.
< ‘20년~’23년 재해예방사업 예산 현황>
작년 3월 ‘23년 예산 신청 후 여름철 호우 및 태풍 등 선제적 재해예방을 위한 신규지구의 필요성, 타당성과 계속지구 사업의 신속한 추진을 위한 증액 등을 도와 시군이 지속적으로 건의한 결과이다.
또한, 괴산 화양지구는 마지막까지 지속 건의한 결과 국회 심의 시 실시설계비가 반영되어 사업이 조기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다.
사업 분야별 총 국비 확보액은 777억원으로 △풍수해 생활권 종합정비사업 14지구 257억원 △재해위험개선지구 43지구 364억원 △급경사지붕괴위험지역 34지구 134억원 △재해위험저수지 8지구 22억원이다.
특히, 충북도는 행정안전부가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1차 서류심사, 2차 발표심사, 3차 현지심사 등 치열한 경쟁을 통해 선정한 ‘2023년 풍수해 생활권 종합정비사업’에 최종 3지구 총사업비 955억원을 반영해 국비 478억원(전체 사업비의 50%)을 확보했다.
또한, 행정안전부에서 연중 실시하는 추진실태 점검, 평가, 시책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노력한 결과 ‘21년 재해위험지역정비사업 추진실태 점검(우수기관), 우수사례 공모(장려)로 선정돼 총 22억 원의 국비 인센티브를 확보했다.
충북도 관계자는 “선제적인 재해예방사업 추진을 위해 도-시군 합동으로 신규 사업을 적극 발굴하고 중앙부처와 국회를 지속 방문하는 등 전방위적으로 노력한 결과 재해예방사업 분야 국비 역대 최다인 국비 777억 원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며, “앞으로도 재해로부터 안전한 충북도 실현으로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붙임 예산 현황 1부.
붙임1 |
|
전년대비 및 연도별 재해예방사업 예산 현황 |
□ 전년대비 증감 현황 (’22년~ ‘23년)
(단위 : 백만원)
구 분 |
2022년 |
2023년 |
증감 |
비고 |
|||
지구 |
예산 |
지구 |
예산 |
지구 |
예산 |
||
계 |
111(56) |
139,726 |
100(36) |
155,552 |
△11 |
15,826 |
|
풍수해생활권 |
11(3) |
35,318 |
14(3) |
51,490 |
+3 |
16,172 |
|
재해위험지구 |
42(7) |
72,550 |
44(11) |
72,846 |
+2 |
296 |
|
급경사지 |
30(22) |
21,798 |
34(20) |
26,832 |
+4 |
5,034 |
|
위험저수지 |
10(6) |
4,210 |
8(2) |
4,384 |
△2 |
174 |
|
조기경보* |
18(18) |
5,850 |
- |
- |
△18 |
△5,850 |
|
* ( ) 신규사업 지구임.
**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사업은 일몰사업으로 종료(’20~‘22)
□ 연도별 재해예방사업 예산 현황 (’20년~‘23년)
(단위:억원)
구 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비 고 |
||||
지구 |
예산 |
지구 |
예산 |
지구 |
예산 |
지구 |
예산 |
||
계 |
85(65) |
906 |
103(62) |
1,369 |
111(56) |
1,397 |
100(36) |
1,555 |
|
풍수해생활권 |
4(4) |
53 |
8(4) |
368 |
11(3) |
353 |
14(3) |
515 |
|
재해위험지구 |
29(13) |
601 |
38(11) |
725 |
42(7) |
726 |
44(11) |
728 |
|
급경사지 |
14(12) |
123 |
20(18) |
149 |
30(22) |
218 |
34(20) |
268 |
|
위험저수지 |
10(8) |
15 |
11(3) |
37 |
10(6) |
42 |
8(2) |
44 |
|
조기경보 |
28(28) |
114 |
26(26) |
90 |
18(18) |
58 |
- |
- |
|
* ( ) 신규사업 지구임.
붙임2 |
|
‘23년 재해예방사업 예산 현황 |
□ 풍수해 생활권 종합정비사업 공모 (신규 3, 계속 11)
(단위 : 백만원)
위치 |
지구명 |
사업개요 |
총 사업비 |
기 투자 |
2023년 반영현황 |
향후분 |
비고 |
|||
시군 |
읍면 |
소계 |
국비 |
지방비 |
||||||
총 14지구 (신규3, 계속 11) |
503,290 |
77,398 |
51,490 |
25,745 |
25,745 |
374,402 |
|
|||
신규 3지구 |
95,548 |
- |
5,200 |
2,600 |
2,600 |
90,348 |
신규 |
|||
충주 |
산척 |
산척 |
소하천5.3km, 하천1.7km 등 |
28,718 |
- |
1,600 |
800 |
800 |
27,118 |
|
보은 |
보은 |
중초 |
소하천 1.9km, 하천5.7km 등 |
40,400 |
- |
2,200 |
1,100 |
1,100 |
38,200 |
|
괴산 |
칠성 |
도정 |
소하천4.8km,하천0.7km 등 |
26,430 |
- |
1,400 |
700 |
700 |
25,030 |
|
계속 11지구 |
407,742 |
77,398 |
46,290 |
23,145 |
23,145 |
284,054 |
계속 |
|||
청주 발산지구 등 11지구 |
407,742 |
77,398 |
46,290 |
23,145 |
23,145 |
284,054 |
□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사업 (신규 11, 계속 33)
(단위 : 백만원)
위치 |
지구명 |
사업개요 |
총 사업비 |
기 투자 |
2023년 반영현황 |
향후분 |
비고 |
|||
시군 |
읍면 |
소계 |
국비 |
지방비 |
||||||
총 44지구(신규 11, 계속 33) |
551,675 |
120,984 |
72,846 |
36,423 |
36,423 |
364,743 |
|
|||
신규 11지구 |
156,834 |
0 |
7,570 |
3,785 |
3,785 |
149,264 |
신규 |
|||
청주 |
사천 |
외천 |
하천 0.8km, 교량1개소 |
2,800 |
- |
400 |
200 |
200 |
2,400 |
|
제천 |
금성 |
대사 |
하천4.7km, 교량 등 |
22,126 |
- |
1,060 |
530 |
530 |
21,066 |
|
제천 |
봉양 |
음마곡 |
하천2.8km, 교량 등 |
16,676 |
- |
800 |
400 |
400 |
15,876 |
|
옥천 |
이원 |
백지원동 |
소하천 2.6㎞,수문3개소 |
20,800 |
- |
390 |
195 |
195 |
20,410 |
|
영동 |
황간 |
노근 |
하천정비 0.6㎞,교량 등 |
3,230 |
- |
300 |
150 |
150 |
2,930 |
|
영동 |
양강 |
묵정 |
하천 1.2㎞, 소하천 4.3km |
17,540 |
- |
860 |
430 |
430 |
16,680 |
|
진천 |
진천 |
돌팩이 |
소하천 2.5km,교량 등 |
7,862 |
- |
400 |
200 |
200 |
7,462 |
|
괴산 |
사리 |
보강 |
하천정비 8.2㎞,교량 등 |
39,900 |
- |
1,900 |
950 |
950 |
38,000 |
|
괴산 |
청천 |
화양 |
하천 2.5km, 교량 개소 등 |
12,000 |
- |
600 |
300 |
300 |
11,400 |
|
음성 |
원남 |
조촌 |
교량 1개소 |
9,900 |
- |
460 |
230 |
230 |
9,440 |
|
음성 |
원남 |
오성 |
다목적가뭄방재시설 1식 |
4,000 |
- |
400 |
200 |
200 |
3,600 |
|
계속 33지구 |
394,841 |
120,984 |
65,276 |
32,638 |
32,638 |
215,479 |
계속 |
|||
청주 가락지구 등 33지구 |
394,841 |
120,984 |
65,276 |
32,638 |
32,638 |
215,479 |
□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정비사업 (신규 20, 계속 14)
(단위 : 백만원)
위치 |
지구명 |
사업개요 |
총 사업비 |
기투자 |
2023년 반영현황 |
향후분 |
비고 |
|||
시군 |
읍면 |
소계 |
국비 (50%) |
지방비 (50%) |
||||||
총 34지구(신규 20, 계속 14) |
60,170 |
7,932 |
26,832 |
13,416 |
13,416 |
25,406 |
|
|||
괴산 추점지구 등 20지구 |
22,612 |
- |
11,732 |
5,866 |
5,866 |
10,880 |
신규 |
|||
영동 원당지구 등 14지구 |
37,558 |
7,932 |
15,100 |
7,550 |
7,550 |
14,526 |
계속 |
□ 재해위험저수지 정비사업 (신규 2, 계속 6)
(단위 : 백만원)
위치 |
지구명 |
사업개요 |
총 사업비 |
기투자 |
2023년 반영현황 |
향후분 |
비고 |
|||
시군 |
읍면 |
소계 |
국비 (50%) |
지방비 (50%) |
||||||
총 8지구(신규 2, 계속 6) |
7,170 |
1,060 |
4,384 |
2,192 |
2,192 |
1,726 |
|
|||
음성 구라우지구 등 2지구 |
2,200 |
- |
900 |
450 |
450 |
1,300 |
신규 |
|||
영동 명덕지구 등 6지구 |
4,970 |
1,060 |
3,484 |
1,742 |
1,742 |
426 |
계속 |
충북보건환경연구원, 전국 오수처리 업무종사자 교육 실시
- 오수처리시설 설계·시공 업무종사자 교육으로 수질오염 예방 추진
충청북도 보건환경연구원(원장 김종숙)은 4일 하수도법 하위법령 개정에 따른 개인하수처리설 관리 강화를 주제로 전국 오수처리시설 설계·시공 업무종사자 교육을 한국생활하수처리협회와 공동으로 실시했다.
개인하수처리시설 관리제도 개선, 오수처리시설 수질개선을 위한 정책방향, 개인하수처리시설 재질검사 방법의 개선, 설계·시공 업무편람에 대해 각 분야의 전문가가 실무중심으로 교육을 실시해 참석자 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최근 도시 인근 농어촌지역에 주택, 펜션, 음식점 등 건축행위가 활발함에 따라 오수처리시설 설치가 증가추세이며, 수질기준 초과 사례도 매우 높은 상황이다.
이에 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오수처리시설 관리제도 개선방안을 연구해 하수도법 시행령, 시행규칙 개정을 건의했고, 환경부에서는 오수처리시설 설치기준 강화, 방류수 수질기준 강화를 반영해 하수도법 시행령과 시행규칙을 일부 개정해 지난해 12월 11일 시행했다.
조성렬 보건환경연구원 산업폐수과장은 “제도개선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전국 오수처리시설 설계·시공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오수처리시설 설치기준 및 운영·관리 강화 내용을 전달하는 자리를 마련했다”라며, “하수처리구역 밖에서 배출되는 개인하수의 적절한 관리를 통해 하천 상류지역에 산재하는 오염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