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RISE 위원회, 814억원 규모 공모사업 선정결과 의결
- 충북형 대학혁신 114개 사업 5월부터 본격 시동 -
충북도가 지난 11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제3차 충청북도 RISE 위원회(공동위원장 김영환 지사, 고창섭 충북대총장)를 개최하여 814억원 규모의 충청북도 RISE 공모사업 평가 결과와 RISE 사업비 집행 지침 제정안을 심의 의결하였다.
충북도는 지난 2월 제2차 위원회를 열어 824억 원의 RISE 공모계획을 확정하였고, 3월 26일까지 한 달간 도내 18개 대학으로부터 138건 1,934억 원 규모의 사업을 신청받았다.
RISE 사업을 수행하는 충북 RISE 센터는 이들 사업을 평가하기 위해 학계, 산업계, 연구계 등 관련 전문가들로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4월 3일부터 4일간 비공개 합숙평가를 진행하였다.
서면평가와 대면평가, 종합심의를 통해 대학별 계획을 면밀히 검토한 평가위원회는 최종 114건에 814억원 규모의 사업을 선정하였다.
과제별 선정된 사업은 다음과 같다.
(단위 : 억원)
과 제 명 |
선 정 |
||
건수 |
사업비 |
대학 |
|
계 |
114 |
814 |
18개교 |
충북 3대 전략산업(이차전지,바이오,반도체) 핵심인재 양성 |
32 |
265 |
충북대 등 18개교 |
지역 특화산업 및 혁신클러스터 중심 융합인재 양성 |
28 |
180 |
교통대 등 16개교 |
국가-충북 미래전략산업 기반 R&BD 및 혁신창업 지원 |
10 |
180 |
충북대 등 15개교 |
지역산업 맞춤형 평생직업교육체계 활성화 |
9 |
55 |
서원대 등 16개교 |
충북 모두의 생활학교 기반 도민행복 실현 |
9 |
35 |
중원대 등 15개교 |
충북형 K유학생 유치 및 정주 지원 |
13 |
62 |
청주대 등 17개교 |
충북 생활연구소 고도화를 통한 지역활력 제고 |
11 |
27 |
우석대 등 15개교 |
지역소멸대응 의학교육 여건 개선 및 늘봄 지원 |
2 |
10 |
청주교대 등 14개교 |
평가위원들은 대학들의 사업계획에 대해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대학별 특성화를 바탕으로 강점 분야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고 평가하였다.
특히, 충북 3대 전략산업(이차전지, 바이오, 반도체)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사업에 대부분의 대학이 참여하였고, 지역 특화산업에 시군의 발전 전략과 수요가 반영된 점을 높이 평가하였다.
다만, 연합 사업에 대학간 역할 분담이 구체적이지 않은 점과 사업계획에 기업 수요가 적게 반영된 점은 앞으로 보완해야 할 과제로 제시하였다.
충청북도는 오는 23일까지 평가결과에 대한 이의신청을 접수받는 한편, 사업비 등을 조정한 수정 사업계획서를 4월 말까지 제출받아 5월 중 협약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김영환 지사는 “이번 평가로 실제 5년간 4천 억원 이상의 재정이 대학에 배분되는 만큼 공정한 평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했다”며 “이제 계획된 사업들의 집행과 관리에 역량을 집중하여 충북형 라이징 스타를 만들겠다.”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김수인 충청북도 과학인재국장은 “최종 선정된 사업은 매년 중간점검과 연차평가, 중간‧종합평가 등을 거치게 된다”라며 “평가결과에 따라 사업 예산을 차등 지원하는 등 적극적으로 환류 조치할 계획”임을 밝혔다.
충청북도 RISE 사업은 지역정주 취업률 15%, 지산학연 공동연구 증가율 40%, 성인학습자 고등교육 참여율 31%, 지역혁신체제 만족도 80% 달성을 목표로 올해부터 2029년까지 시행될 예정이다.
충북 RISE 사업이 본격 시행됨에 따라 충청북도는 도내 18개 대학 및 혁신기관과 함께 바이오․반도체․이차전지 등 지역전략산업 인재양성, 평생교육 및 늘봄 프로그램 개발과 전문인력 양성, 외국인유학생 유치 등 지역발전과 현안 해결에 필요한 사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붙임 |
|
선정현황 |
○ 과제별 현황
(단위: 억원, 건)
프로젝트 |
단위과제 |
신청 |
선정 |
||||||
건수 |
유형 |
금액 |
건수 |
유형 |
금액 |
||||
계 |
138 |
단독(73) 연합(65) |
1,934 |
114 |
단독(67) 연합(47) |
814 |
|||
지역정주형 인재양성 (445억원) |
➊ 충북 3대 전략산업 (이차전지, 바이오, 반도체) 핵심인재 양성 |
공유대학 |
3 |
연합(3) |
65 |
3 |
연합(3) |
65 |
|
단독형 |
32 |
단독(32) |
436 |
29 |
단독(29) |
200 |
|||
➋ 지역 특화산업 및 혁신클러스터 중심 융합인재 양성 |
시군특화형 |
23 |
단독(11) 연합(12) |
220 |
22 |
단독(11) 연합(11) |
110 |
||
클러스터형 |
6 |
단독(2) 연합(4) |
128 |
6 |
단독(2) 연합(4) |
70 |
|||
지산학연 협력 생태계 구축 (180억원) |
❸ 국가-충북 미래전략산업 기반 R&BD 및 혁신창업 지원 |
공동연구센터 |
19 |
연합(19) |
599 |
6 |
연합(6) |
160 |
|
창업지원센터 |
5 |
단독(1) 연합(4) |
50 |
4 |
단독(1) 연합(3) |
20 |
|||
❹ 4세대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기반 연구역량 향상 |
2 |
연합(2) |
15 |
- |
- |
- |
|||
평생교육 체계 확대 (90억원) |
❺ 지역산업 맞춤형 평생직업교육 체계 활성화 |
10 |
단독(5) 연합(5) |
116 |
9 |
단독(4) 연합(5) |
55 |
||
❻ 충북 모두의 생활학교 기반 도민 행복 실현 |
11 |
단독(5) 연합(6) |
91 |
9 |
단독(4) 연합(5) |
35 |
|||
지역현안 해결 (99억원) |
❼ 충북형 K-유학생 유치 및 정주 지원 |
14 |
단독(10) 연합(4) |
140 |
13 |
단독(9) 연합(4) |
62 |
||
❽ 충북 생활연구소 고도화를 통한 지역 활력 제고 |
11 |
단독(7) 연합(4) |
54 |
11 |
단독(7) 연합(4) |
27 |
|||
❾ 지역소멸대응 의학교육 여건 개선 및 늘봄 지원 |
의학교육 |
- |
- |
- |
- |
- |
- |
||
늘봄 |
2 |
연합(2) |
20 |
2 |
연합(2) |
10 |
○ 대학별 현황
(단위: 억원, 건)
구분 |
대학명 |
선 정 |
|||
금액 |
건수 |
||||
계 |
단독 |
연합 |
|||
계 |
814 |
267 |
67 |
200 |
|
1 |
충북대학교 |
209.07 |
28 |
4 |
24 |
2 |
한국교통대학교 |
131.28 |
19 |
3 |
16 |
3 |
청주대학교 |
100.70 |
23 |
6 |
17 |
4 |
서원대학교 |
48.54 |
15 |
5 |
10 |
5 |
중원대학교 |
47.78 |
21 |
8 |
13 |
6 |
건국대학교(글로컬캠퍼스) |
45.35 |
20 |
4 |
16 |
7 |
충북보건과학대학교 |
37.73 |
14 |
9 |
5 |
8 |
충청대학교 |
35.18 |
16 |
6 |
10 |
9 |
세명대학교 |
34.53 |
22 |
6 |
16 |
10 |
강동대학교 |
31.40 |
14 |
3 |
11 |
11 |
우석대학교(진천캠퍼스) |
16.78 |
8 |
4 |
4 |
12 |
극동대학교 |
15.70 |
12 |
1 |
11 |
13 |
충북도립대학교 |
14.12 |
10 |
|
10 |
14 |
한국교원대학교 |
13.68 |
7 |
1 |
6 |
15 |
유원대학교 |
13.61 |
11 |
1 |
10 |
16 |
대원대학교 |
8.92 |
15 |
2 |
13 |
17 |
가톨릭꽃동네대학교 |
6.32 |
7 |
4 |
3 |
18 |
청주교육대학교 |
3.31 |
5 |
|
5 |
※ 연합과제의 경우, 수정사업계획에 따라 대학별 사업비 변경 가능성 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