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6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충청북도

충북도, ‘충북형 도시농부’ 인력중개 50만 명 달성, 농촌일자리 혁신 외 (10월16일 종합)

 

 

보도자료 목록

제 목(8)

사진

ENG

담당부서

충북형 도시농부인력중개 50만 명 달성, 농촌일자리 혁신

농업정책과

충북에서 시작된 의료비후불제대한민국으로 확산된다

×

보건정책과

충북도, 캄보디아 여행자제 및 취업사기 주의 당부

×

×

국제통상과

도내 다문화가족 한자리에, ‘18회 다문화가족 한마음 축제개최

×

외국인정책추진단

충북도, 위원회 성별균형 달성률 89.0%, 전국 상위권 차지

×

양성평등가족정책관

충북도,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보호·지원체계 강화를 위한 민···학 협력 간담회개최

×

양성평등가족정책관

자연 속에서 만나는 특별한 하루! ‘미동산 숲과의 만남’ 10.18. 개최

×

산림환경연구소

기후위기 시대, 해답은 유기농업

×

농업기술원

 

금일 주요행사

현지시간

내 용

장 소

비고

관련자료

보도자료

사진

ENG

11:00

도시농부 간담회

청 주

 

15:00

법주사 숲속음악회

법주사

 

×

×

16:30

스마트경영포럼 청남대 힐링 300 행사

청남대

 

×

×

19:00

충북 연애, 결혼 공감 스토리 영상제

오송선하마루

 

×

×

 

상기일정 및 자료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충북형 도시농부인력중개 50만 명 달성, 농촌일자리 혁신

도시농부 의견 수렴을 위한 간담회 개최

 

충북도는 도농 상생형 일자리 모델인 충북형 도시농부사업이 인력 중개 50만 명을 달성하여 금년도 말 목표 인원을 2개월 이상 앞당겼다고 밝혔다.

 

전국 최초로 2023년 충북도에서 시작된 도시농부 사업은 농촌일자리 창출의 선도모델로 정착했다. 도시농부는 도시민이 농촌의 일손을 돕는 도농 상생형 일자리모델로 농가와 도시민 모두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충북형 도시농부는 사업 추진 3년 만에 누적 인력중개 50만 명을 돌파하여, 도시민과 농촌이 상생하는 대표적인 지역 일자리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2025년 지방자치단체 일자리 대상에서 종합 대상을 수상하는 데 크게 기여한 바 있다.

 

도시농부 사업이 성공적으로 정착한데는 매년 사업에 대한 성과분석을 실시하고, 현장의 의견을 반영해 지침과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온 점이 큰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시군별 대표번호 통합으로 참여자의 편의를 높였으며 올해 안으로 전산시스템을 완비하여 인력중개 효율성과 관리 체계를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김영환 지사는 인력중개 50만 명을 기점으로 1016일 중부권 도시농부와의 현장간담회를 개최하여 개선 방안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 향후에도 남부권, 북부권에서 도시농부와의 현장간담회를 이어갈 계획이다.

 

 

충북형 도시농부 50(인력중개) 달성 현장간담회

 

 

개 요

일 시 : 2025. 10. 16.() 11:00 ~ 13:00

장 소 : 미호천 영농법인 2층 회의실 (흥덕구 청주역로 213-30)

미호천 영농법인 : 농업인 80여 명으로 구성 / 회원 대부분이 도시농부 활용

참 석 자 : 30명 정도

- 도지사, 도시농부, 수요농가, 도시농부 중개센터 관계자 등

주요내용

- 도시농부 사업 참여자(도시농부, 농가)와 함께 오찬 간담회

- 도시농부 사업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참여자 의견 수렴

- 특정 참여자에게 인력중개 쏠림현상 방지대책 등 발전방안 논의

 

세부일정

 

일 정

행 사 내 용

비 고

11:10 11:20

10‘

지사님 인사말씀

 

11:20 12:50

90‘

오찬 간담회

- 중식 : 도시락

- 도시농부 발전 관련 현장 의견 수렴

도지사

주재

12:50 13:00

10‘

마무리

 

 

향후 간담회 계획 : 남부권(10.30. / 옥천), 북부권(11.14. / 제천)

 

붙임

 

충북형 도시농부 사업

 

 

< 충북형 도시농부란? >

 

 

 

75세 이하 은퇴자, 주부, 청년 등 유휴인력 대상, 농업분야 교육 실시 후 농업인력으로 육성하는 도농상생 농촌일자리 사업

 

농촌에 취업하는 근로의 개념으로, 농촌 인력을 보충하는 동시에

농촌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장기적으로 귀농·귀촌 확대 유도

전국 최초 도농상생형 농촌 일자리 사업

 

사업개요

참여지역 : 11개 시·

참여인원 : 연인원 300,000

- (도시농부) 20 ~ 75세의 청년, 은퇴자, 주부 등 비농업인 유휴인력

- (수 요 처) 도내 거주하는 농업인 또는 농업법인, 농식품 가공업체 등

사업예산 : 133억원(53, 시군 80) 농가부담 108억원 별도

지원내용 : 14시간 근로 기준, 인건비·교통비·영농반장수당 등 지급

- 도시농부 : 교통비(15천원), 상해보험, 교육비, 반장수당

- 수요농가 : 인건비 6만원 중 2.4만원

 

문의 : 시군별 도시농부 중개센터

참여방법

 

도시농부

농가

1. 교육

- 8시간 교육 이수

- (온라인)농업교육포털

1. 농가등록

- 도시농부 중개센터에 전화

(농업경영정보 등록)

2. 참여신청

- 도시농부 중개센터에 전화

- 신청서, 교육이수증 첨부

2. 일손 신청

- 도시농부 중개센터에 전화

(날짜, 장소, 인원, 작업내용)

3. 일자리 신청

- 도시농부 중개센터에 전화

- 일손 모집(문자)에 회신

3. 매칭

- 농가 도시농부 연락

 

4. 농작업 참여

- 4시간 농작업 시간 준수

- 농작업 장소까지 개별 이동

4. 농작업

- 근로계약 체결, 안전수칙 설명

 

5. 인건비 수령

- 농가로부터 당일 수령

교통비 : 시군별 별도 지급

5. 인건비 지급

- 인건비 6만원 도시농부에게 당일 지급

보조금 24천원 농가에 추후 지급

 

충북형 도시농부 실적(2025. 10. 14. 기준)

모집인원 : 도시농부 49,004, 수요농가 21,085

(연도별)인력중개

 

구 분

2025

2024

2023

인력중개 실적

495,190

278,993

150,665

65,532

 

시군별 도시농부 중개센터 전국 대표전화번호

 

시군

연락처

시군

연락처

시군

연락처

청주시

1533-0881

옥천군

1533-2384

괴산군

1533-2794

충주시

1533-2027

영동군

1533-2385

음성군

1533-3601

제천시

1533-2028

증평군

1533-2386

단양군

1533-4090

보은군

1533-2240

진천군

1533-2773

 

 

 

도 담당부서 대표 전화번호 : 1533-0234

 

 

   

충북에서 시작된 의료비후불제대한민국으로 확산된다

- 경기도, ‘의료비후불제 도입 위한 정책토론회개최 -

 

충북도가 전국 최초로 시행한 의료비후불제의 수혜자가 2천 명을 돌파한 가운데, 경기도 의료비후불제 도입을 위한 정책토론회1016일 경기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번 토론회는 충북 의료비후불제의 성공 사례를 공유하고, 경기도 내 제도 도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김동규 의원이 좌장을 맡아 주제 발표와 패널토론,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되었다.

 

이날 주제 발표를 맡은 한찬오 충북도 보건정책과장은 의료비후불제는 갑작스러운 의료비 부담으로 치료를 포기하는 도민이 없길 바라는 마음에서 시작한 제도라며, “도입 3년 차를 맞아 미상환율 1% 미만의 건전한 제도로 자리잡았고, 실제 의료취약계층의 치료 기회를 크게 넓혔다고 밝혔다.

 

이어 한 과장은 의료비후불제가 충북을 넘어 대한민국이 함께 누리는 제도로 확산되길 기대한다경기도를 비롯한 여러 지자체의 관심이 제도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토론에는 김덕원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장,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회 회장, 이의기 경기도 보건의료정책과 예방의약팀장 등이 참여하여 의료비후불제 도입의 필요성과 제도적 보완 방안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충북도와 의료비후불제 도입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내년 상반기 시범 사업을 목표로 행정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서울시와 경기도 등 타 시도의 도입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충북형 의료비후불제가 전국 확산의 모범사례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충북도는 의료비후불제 지원 한도를 최대 500만원까지 확대하고, 한부모가족 등 취약계층을 지원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 등을 보건복지부와 협의 중으로,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고 더 많은 도민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참고

 

의료비후불제 일일 추진상황(10. 10. 기준)

 

 

신청현황(총괄)

(단위 : , 천원)

 

구분

사업신청

대출실행

비 고

신청인원

신청금액

대출인원

대출금액

누 계

2,102

5,423,017

1,613

4,089,893

 

 

 

 

신청자 세부현황

(단위 : )

 

대상별

65세 이상

기초수급자

차상위계층

국가유공자

장애인

다자녀

비고

(산모)

2,102

776

851

27

82

250

112

4

 

질환별

임플란트

(틀니포함)

슬관절

고관절

척추

심혈관

뇌혈관

치아교정

1,724

1,596

73

20

110

24

27

147

담낭···맹장

호흡기

골절

산부인과

비뇨기과

안과

13

13

9

53

8

2

7

 

시군별

(거주지 기준)

청주

충주

제천

보은

옥천

영동

증평

진천

괴산

음성

단양

2,102

1,171

315

111

29

58

24

40

64

51

212

27

종합·일반병원

417

311

17

20

5

13

1

15

5

14

15

1

1,685

860

298

91

24

45

23

25

59

37

197

26

 

 

 

 

충북도, 캄보디아 여행자제 및 취업사기 주의 당부

- 외교부·충북경찰청 등과 공조 지속, 도민 피해 발생 예방 총력 -

 

충북도는 최근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대학생 사망 사건과 관련하여 도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캄보디아 여행자제 권고 및 청년층 대상 취업 사기, 감금 등 범죄 피해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이는 최근 도내에서도 캄보디아 관련 실종 피해 신고가 발생함에 따라 해외에서 활동 중인 도내 청년들의 안전 문제에 대한 도민들의 심각한 우려에 따른 조치이다.

 

외교부에서도 사안이 심각해짐에 따라 지난 10.10일 자로 기존 2단계(여행자제) 발령 지역인 프놈펜에 대한 여행경보를 특별여행주의보로 상향 조정했다.

 

먼저, 도에서는 가급적 캄보디아 여행자제를 권고하고 부득이 방문하게 될 경우 외교부의 최신 여행경보 단계를 반드시 확인하고 안전에 각별히 유의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청년층 대상 해외 취업 사기와 범죄 피해에 대해서도 주의를 당부했다. SNS나 온라인 구직 사이트 등에서 고수익을 미끼로 항공료 선지급(차후 정산) 등 좋은 조건을 제시하여 해외 취업을 유도한 뒤,

 

피해자가 입국하면 여권과 휴대전화를 빼앗고 사실상 감금 상태로 보이스피싱, 온라인 도박 등 각종 범죄에 강제로 동원하고 이를 거부하거나 도망치려 하면 협박, 폭행을 일삼는 등 범죄에 노출될 수 있으니 신변 안전에도 주의를 요청했다.

 

이와 관련해 피해를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텔레그램 등 SNS를 통해 고수입 해외 취업’, ‘무비자 근무’ ‘숙식제공등 일자리를 제안하거나 업무보다 취업 조건이 지나치게 좋은 경우에는 취업 사기를 의심하고,

 

취업하고자 하는 기업의 담당자를 찾아 직접 상담, 담당할 업무를 정확하게 확인, 계약 사항은 문서화하되 외국어로 기재된 문서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은 채 서명하지 말고, 반드시 취업비자를 발급받고 출국할 것이 요구된다는 설명이다.

 

향후 충북도에서는 도민 안전을 위해 외교부, 충청북도 경찰청과 공조하고 충북도 SNS를 통해 캄보디아에 대한 위험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도내 각 시군과 대학에 도민 여행자제 및 청년 대상 해외 취업 사기 지도를 요청하는 등 지속적으로 피해 예방 활동을 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김두환 충북도 경제통상국장은 캄보디아 현지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도민 안전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강구할 예정이라며, “도민들께서도 충북도 SNS 등을 참고하여 관련 정보를 숙지하시고 피해를 입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도내 다문화가족 한자리에,

18회 다문화가족 한마음 축제개최

- 18() 10, 청주가톨릭꽃동네대학운동장, 다문화가족 800여 명 참여 -

 

18() 도내 다문화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충북도는 이날 청주가톨릭꽃동네대학교운동장에서 도내 다문화가족 간의 이해와 화합을 위한 18회 충청북도 다문화가족 한마음축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충북도는 지난 2007년부터 매년 한마음축제를 개최하며, 도내 다문화가족 간 소통과 화합의 장을 마련해 오고 있다.

 

충북도, 청주시, 충북가족센터협의회가 주최하고 청주시가족센터가 주관하는 이번 축제에서는 다양한 공연과 명랑운동회, 모범가족표창 등 가족 모두가 함께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등이 운영될 예정이다.

 

현재 충북 도내 다문화가구원은 41,916명으로, 전체 도민의 2.5%를 차지한다. 특히 최근에는 결혼이민자 수에 비해 다문화가족 자녀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자녀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정책적 대응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충북도는 다문화가족정책이 결혼이민자 중심에서 자녀까지 확산됨에 따라 자녀들을 위한 기초학습지원 및 진로설계, 교육활동비 등 자녀들을 위한 맞춤형 교육, 돌봄 등을 강화하고 있다.

 

박선희 충북도 외국인정책단장은 다문화가족이 지역사회의 소중한 구성원으로 함께 어우러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과 협력을 이어가겠다, “특히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바르게 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참고

 

다문화가족 현황 (‘23.11월 기준 행안부 외국인등록현황, 통계청)

 

충청북도 다문화가구원 현황 : 41,916(도민 1,642,5802.5%)

(단위 : )

구 분

한국인배우자

결혼이민자

귀화자

자녀

기타동거인

2021

38,720

5,823

5,657

5,872

10,903

10,465

2022

40,166

5,837

5,555

6,457

11,191

11,126

2023

41,916

5,899

5,793

6,821

11,568

11,835

 

한국인배우자 : 외국인 또는 귀화자와 결혼한 한국 시민
결혼이민자 : 대한민국 국민과 혼인한 외국인으로, 결혼을 목적으로 입국하여 체류자격(F-6)을 부여받은 자
귀화자 : 외국인이 한국 국적을 취득한 사람 (혼인 여부 무관)
자녀 : 출생자녀 + 중도입국자녀
기타동거인 : 조부모, 형제자매, 비혈연 동거인 등

 

  

2025년 충청북도 다문화가족 한마음축제 개최

행사개요

일 시 : 2025. 10. 18.(), 10:00 ~ 16:00 *개회식 10:30

장 소 : 가톨릭꽃동네대학교(청주시 서원구 현도면 상삼길 133)

주최/주관 : 충청북도, 청주시 / 청주시가족센터 *시군별 순회 개최

참 석 : 도내 다문화가족 및 가족센터 직원 등 800여 명

사 업 비 : 30,000천원(도비 30%, 시비 70%)

주요내용 : 개회식, 화합한마당(장기자랑, 명랑운동회), 폐회식

 

진행순서

 

 

구분

시간

내용

비고

사전

공연

입장

10:00~10:20

‘20

등록 및 입장

 

축하공연

10:10~10:30

‘20

식전공연

청주시가족센터 베트남 춤동아리

충청대 실용댄스과

1

개회식

10:30~11:30

‘60

내빈소개

사회자

개회선언

청주시가족센터장

국민의례

사회자

모범가족표창

충북도지사 표창 12

대 회 사

충북가족센터협의회장

환 영 사

청주시장

격 려 사

충북도지사

축 사

청주대학교 산학부총장

 

중식

11:30~12:30

‘60

중 식

식당 또는 야외

2

화합한마당

12:30~15:30

‘180

공연 및 체험부스

페이스페인팅, 풍선아트,

포토존, 던져라 왕중왕

13:30~15:30

‘120

명랑운동회

 

폐회식

15:30~16:00

‘30

장기자랑 시상 및

폐회식

충북가족센터협회장

 

 

붙임1

 

충북가족센터협의회 현황

 

.  

회 장 : 한석수(64.08.10.) / 설립일(2008.8.29.)

소 재 지 : 괴산군 괴산읍 금산길 3

회원단체 : 12개소(시군 가족센터 및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주요사업 : 보편적 가족서비스, 다문화 가족 권익증진 사업 등

 

.  

 

사 진

기 본 현 황

주 요 경 력

충북가족센터협의회

회 장 한 석 수

학력: 선문대학교 목회학 석사

주요이력

()괴산군가족센터장

()충북가족센터협의회장

()한국다문화가족건강가정지원협회 이사

충북가족센터협의회

부회장 강 수 성

학력: 목원대학교 사회복지 일반대학원 석사

주요이력

()영동군가족센터장

()영동군지역사회보장협의체 실무위원장

()더이룸(The Erum) 대표이사

 

 

. 가족센터 및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현황(12개소)

 

센 터 명

센터장

소 재 지

청주시 가족센터

박미영

청주시 서원구 무심서로 333

청원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김현진

청주시 상당구 남일면 단재로480(상당보건소내 2)

충주시 가족센터

심재석

충주시 사직산2134, 복합복지관

제천시 가족센터

최석원

제천시 명륜로 133, 제천가톨릭복지관

보은군 가족센터

정해자

보은군 보은읍 남부로 4515, 거성상가 2

옥천군 가족센터

신현숙

옥천군 옥천읍 삼금로46, 옥천통합복지센터 5

영동군 가족센터

강수성

영동군 영동읍 성안길 9-4

증평군 가족센터

(직 영)

증평군 증평읍 보건복지로 56-2

진천군 가족센터

왕은영

진천군 진천읍 중앙북111-10, 생거진천종합사회복지관 2

괴산군 가족센터

한석수

괴산군 괴산읍 금산길 3

음성군 가족센터

변정순

음성군 음성읍 음성천서길 103, 여성회관

단양군 가족센터

김미정

단양군 단양읍 별곡125,여성발전센터 2

 

 

붙임2

 

도지사 표창 대상

 

 

연 번

·

유 형

성 별

성 명

비 고

(출신국)

1

괴산군

다문화

가족

진혜윤

(秦慧贇)

중국

2

단양군

다문화

가족

김종일

(金鍾一)

한국

3

보은군

다문화

가족

이지안

베트남

4

영동군

다문화

가족

이효주

필리핀

5

옥천군

다문화

가족

전영국

(全榮國)

한국

6

음성군

다문화

가족

유채원

(劉采沅)

중국

7

제천시

다문화

가족

진소희

(陳劭熙)

네팔

8

증평군

다문화

가족

림민주

(林玟姝)

중국

9

진천군

다문화

가족

다비디안 아누쉬

러시아

10

청주시(청원)

다문화

가족

이선희

베트남

11

청주시

다문화

가족

이영화

(李英花)

중국

12

충주시

다문화

가족

가이시나

엘리나

러시아

 

 

붙임3

 

도내 다문화가족 현황

 

다문화가구원 현황 : 41,916(도민 1,641,4812.5%, 23년 기준)

(단위 : )

 

구 분

다문화가구

()

다문화가구

가구원()

내국인

(출생)

내국인

(귀화ㆍ인지)

외국인

(결혼이민자)

외국인

(기타)

충 북

13,896

41,916

27,457

7,172

5,793

1,494

전 국

415,584

1,191,768

730,263

233,098

179,525

48,882

 

충청북도 가구수 741,403 / 충청북도 가구원 1,641,481 (2023년 기준)

 

 

 

외국인주민 현황

 

 

 

외국인주민 수(‘23.11.1. 기준) : 89,823(도민의 5.5%)

(단위 : )

 

구 분

외국인

근로자

결 혼

이민자

유학생

외국국적동포

기 타

외국인

귀화자

외국인

주민자녀

`21

73,529

16,392

5,672

3,864

11,637

19,066

6,212

10,686

`22

79,411

18,428

5,570

4,568

12,789

20,262

6,820

10,974

`23

89,823

22,259

5,808

5,506

13,320

24,418

7,237

11,275

23년 외국인주민현황 결혼이민자(5,808) 수와 다문화가구원 결혼이민자(5,793) 상이 사유

 

다문화가구원에는 집단시설 거주자(생활시설 등)는 제외된 수치

 

 

시군별 결혼이민자 현황 (단위 : )

 

구 분

청주

충주

제천

보은

옥천

영동

증평

진천

괴산

음성

단양

`21

5,672

2,302

736

388

146

172

191

222

597

151

669

98

806

349

107

49

9

22

15

29

107

13

97

9

4,866

1,953

629

339

137

150

176

193

490

138

572

89

`22

5,570

2,282

710

383

145

162

169

226

601

148

659

85

841

357

109

49

11

25

13

33

128

10

99

7

4,729

1,925

601

334

134

137

156

193

473

138

560

78

`23

5,808

2,409

735

378

145

182

176

222

620

149

699

93

908

388

115

47

13

27

12

36

132

14

113

11

4,900

2,021

620

331

132

155

164

186

488

135

586

82

 

 

국적별 현황 (단위 : )

 

구분

국 적 별

베트남

중 국*

(한국계포함)

필리핀

일본

태국

캄보

디아

몽골

대만

기타

`21

5,672

1,813

1,653

510

402

254

194

136

40

670

`22

5,570

1,570

1,699

499

398

302

189

136

46

731

`23

5,808

1,676

1,698

503

417

357

208

137

41

771

 

붙임4

 

우리도 다문화가족 지원사업 현황

 

주요사업 : 9개 사업

예 산 액 : 6,897백만원

(단위 : 천원)

 

연번

사 업 명

사 업 량

예 산 액 (천원)

국비

도비

시군비

다문화가족사업(9개 사업)

 

6,897,180

3,239,790

1,120,770

2,536,620

1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

1개소

278,000

139,000

41,700

97,300

2

다문화가족지원 거점센터 운영

1개소

44,300

22,150

22,150

-

3

다문화가족 특성화사업

 

3,255,260

1,627,630

488,290

1,139,340

방문지도사운영

59

1,312,750

656,375

196,912

459,463

언어발달지원

10

417,400

208,700

62,610

146,090

통번역지원

22

794,420

397,210

119,163

278,047

이중언어 부모코칭

11

418,990

209,495

62,849

146,646

이중언어 직접학습

6개소

94,200

47,100

14,130

32,970

결혼이민자 역량강화

12개소

217,500

108,750

32,625

76,125

4

가족센터 운영

 

2,902,020

1,451,010

435,300

1,015,710

다문화 교류소통 공간지원

8개소

361,120

180,560

54,168

126,392

다문화가족 자녀지원

11개소

2,437,900

1,218,950

365,685

853,265

결혼이민자 취업지원

2개소

103,000

51,500

15,450

36,050

5

다문화가족 통번역지원(자체)

10

361,100

-

108,330

252,770

6

통번역지원사 보수교육

10

1,500

-

1,500

-

7

다문화가족 소식지 발간

1

10,000

-

10,000

-

8

다문화가족 지원 관계기관 합동연수

1

15,000

-

4,500

10,500

9

다문화가족 한마음 축제 지원

1

30,000

-

9,000

21,000

 

 

 

충북도, 위원회 성별균형 달성률 89.0%, 전국 상위권 차지

- 2025년 제6차 양성평등위원회 개최, 성평등 정책 성과 공유 및 향후 과제 논의 -

 

충북도는 16일 도의회청사 워크숍룸에서 2025년 제6충청북도 양성평등위원회를 열고, ‘양성평등기금 운용계획 심의 함께 도내 위원회 성별균형 현황 점검 결과 및 성평등 정책 성과를 보고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2026년 양성평등기금 운용계획() 2건의 심의 안건과 여성가족부 대통령상 2관왕 수상 보고, 2024년 지자체 위원회 성별참여 현황 점검 결과, 충북 지역성평등지수 향상 방안 연구 결과 등 3건의 보고 안건이 상정되었다.

 

이날 회의의 주요 보고 사항인 2024년 지자체 위원회 성별참여 현황 이행점검 결과에 따르면, 도 및 11개 시·군 소관 위원회의 여성참여율과 성별균형 달성률이 모두 전년 대비 상승 하였으며, 전국에서도 상위권 수준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북의 여성위원 참여율은 광역위원회가 44.7%에서 45.4%, 기초위원회가 44.0%에서 44.5%로 상승하였으며, 전국 기준 광역 3, 기초 4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성별균형 달성률은 광역 89.0%, 기초 70.6%로 각각 전국 2위를 차지하였다.

 

충북도는 이 같은 성과가 도 차원의 정기 모니터링 강화, 충북여성인재DB를 통한 여성위원 추천 활성화 등 지속적인 제도 개선 노력의 결과라고 밝혔다.

 

오경숙 양성평등가족정책관은 위원회 성별균형은 정책 결정과정의 성평등을 실현하는 핵심 지표라며, “여성의 정책 참여를 확대하고, 성평등한 의사결정 구조가 정착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충북도,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보호·지원체계 강화를 위한 민···학 협력 간담회개최

피해자 맞춤형 지원 강화 및 청소년 피해예방 네트워크 확대

 

충북도는 16일 청주YWCA에서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보호·지원체계 강화를 위한 민···학 협력 간담회를 열고, 디지털성범죄 피해자의 보호와 지원 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충북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주관으로 열렸으며, 충북도, 청주시, 청주교육지원청, 여성긴급전화 1366충북센터, 충북해바라기센터, 충북경찰청 및 지역 경찰서 관계자 등 유관기관 관계자 15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2026년도 충북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사업 계획을 함께 공유하고, 청소년 피해자 보호·지원체계 강화 및 기관 간 협력 네트워크 확대 방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특히, 피해자 상담 및 불법 촬영물 삭제지원, 수사 동행, 법률·의료 연계, 심리 치유 프로그램 등 맞춤형 지원 서비스의 접근성 강화와 피해자 중심의 지원체계 고도화에 의견을 모았다.

 

충북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는 디지털 환경 전문성을 갖춘 전담 인력이 피해 접수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고 있으며, 피해자의 일상 회복과 심리 안정, 사회 복귀를 돕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성범죄 예방 교육, 홍보활동, 유관기관 교류를 통해 지역사회 전반의 예방 인식 제고에도 힘쓰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 충북도 관계자는 디지털성범죄는 기술 발달과 함께 그 형태가 다양해지고 있어 기관 간 긴밀한 공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충북도는 피해자 보호와 2차 피해 방지를 최우선으로, 예방·상담·치유가 선순환되는 통합지원체계를 지속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충북도는 간담회 정례화로 민···학 협력 네트워크를 한층 강화하고, 지역 내 디지털성범죄 피해자의 안전과 회복을 위한 지속 가능한 협력체계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디지털성범죄 피해상담, 삭제지원, 유포현황 모니터링, 수사·법률·의료 연계가 필요한 경우 충북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043-267-3006 / cjc3007@daum.net)로 문의하면 지원받으실 수 있습니다.

 

 

자연 속에서 만나는 특별한 하루!

미동산 숲과의 만남’ 10.18. 개최

- 전시·체험·참여행사까지가족과 함께하는 숲속 힐링 시간 -

 

충청북도 산림환경연구소는 오는 1018(), 미동산수목원에서 ‘2025년 미동산 숲과의 만남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수목원 찾는 방문객들에게 다채로운 즐길 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전시, 체험, 참여형 프로그램 등으로 알차게 구성되었다.

 

중앙광장에서는 나무목걸이 만들기 손수건 나뭇잎 찍기 바람개비 만들기 목재소품 만들기 등 어린이와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만들기 체험이 운영되며, 이 외에도 페이스페인팅 숲길 드로잉 풍선 나눔 팝콘 증정 이벤트 등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어, 오감을 만족시키는 힐링의 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

 

전시 프로그램도 풍성하다. 산림과학박물관에서는 보릿대를 활용한 맥간공예 작품 25점이 전시되며, 숲속생태도서관에서는 그림책 원화 14점과 식물 세밀화 30점이 함께 전시되어 자연과 예술이 어우러진 감성적인 관람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산림교육센터에서는 직접 반려식물을 심고 꾸미는 반려식물 키우기체험과 수목원 생태체험 프로그램인 에코티어링스탬프 투어프로그램도 함께 진행된다.

 

특히, 이날만 운영되는 수목원 미동네컷포토 부스는 미동산수목원에서의 특별한 순간을 사진으로 남길 수 있어 방문객들에게 잊지 못할 추억을 선물할 예정이다.

 

김영욱 충청북도 산림환경연구소장은 이번 행사는 도민들에게 자연의 소중함을 다시금 일깨우고, 숲의 가치를 몸소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됐다, “도심을 벗어나 자연 속에서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뜻깊은 추억을 만들어가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기후위기 시대, 해답은 유기농업

- 충북 유기농업연구소 개소 10주년지속 가능한 농업 가치 재조명 -

 

충북농업기술원(원장 조은희) 유기농업연구소가 1016세계 식량의 날을 맞아 개소 10주년을 기념하며, 기후위기 시대에 지속 가능한 농업의 해법으로서 유기농업의 가치를 다시금 강조했다.

 

2016년 문을 연 유기농업연구소는 지난 10년간 친환경 재배기술 개발 토양 환경 개선 유기농자재 검증 및 보급 농업인 교육과 현장 컨설팅 유기농업 정책 제안 등 다방면의 연구와 현장 실천을 이어왔다. 이러한 노력으로 충북 지역 유기농업 확산과 건강한 농업 생태계 조성에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다.

 

현재 연구소는 기후위기와 식량안보에 대응하기 위한 유기농업 기술 고도화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토종자원 기반 생태순환형 유기재배 체계 구축 농업미생물·식물추출물 활용 병해충 관리 기술 개발 현장 실증 중심의 실용 기술 확산 등 지속 가능한 농업 실현을 위한 중점 과제들을 추진 중이다.

 

유기농업연구소 전종옥 소장은 유기농업은 환경 보전과 안전한 먹거리, 지역사회의 건강을 함께 지키는 지속가능한 대안이라며 앞으로도 연구와 현장 지원을 강화해 기후위기 대응형 농업으로의 전환을 이끌겠다라고 말했다.

 

충북농업기술원 유기농업연구소는 앞으로도 기후변화 대응형 유기농업 기술 개발, 토양 건강성 증진, 지역 먹거리 순환체계 구축 등 지속 가능한 농업 실현을 위한 연구와 정책 제안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