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철 개인전을 개최한다. 5년이란 시간이 소요 됬다니 그만큼 작품 준비가 힘들었음을 준비 기간으로 봤을때 느낀다. 오랜시절 미술분야에서 전공과 직업을 해왔다. 김교수의 청년시절 판화 작품 중 동판화는 신세계를 꿈꾸듯 초현실주의 경향 작품들은 지금도 인상 깊다. 지금은 단단한 내면의 철학을 바탕으로 표현 한다. 인사동 충북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는 김태철 작가의 개인전《무심 No Mind》은 묵직한 철학적 사유 전달하고 있다. 작가는 청주대학교 교수로, 청주예총 회장, 청주ㆍ충북미술협회장을 역임한 지역 미술계의 든든한 버팀목으로 활동해 온 중견 작가는 어째서 익숙한 붓 대신 가장 현대적인 도구인 카메라를 들었을까. 그는 순간순간 변하는 마음 주제를 풀어나가는 과정에 그리는 것만으로는 표현의 한계를 느껴 오랜 기간 표현 방법을 고심하던 중 붓을 카메라로 대체하는 디지털 아트 작업을 창안했다고 한다. 그의 전시는 단순한 이미지의 나열이 아닌, ‘본다’는 것의 본질과 ‘마음’의 실체를 파고들어 깊은 울림이 전해진다. 전시장에 들어서면 약 7미터의 대형 작품과 4미터, 2미터가 넘는 작품들이 산세의 웅장함을 나타낸다. 또한 작품들의 색감에 대해 관람자들은 화려하며
네오아트센터, 6월 18일(수) ~ 7월 13일(일) 1, 2관: 안말환 "숲으로의 초대" 3, 4관: 최인선 "회화의 고백" 3, 4관: 최인선 "회화의 고백" 한국 모노크롬의 거장 최인선 작가, '회화의 고백' 展 물질과 정신, 시간의 변증법으로 탐구하는 회화의 본질 6월 18일 네오아트센터 개막 한국 현대미술의 거장 최인선 작가(홍익대학교 회화과 교수)의 개인전 '회화의 고백'이 오는 6월 18일부터 7월 13일까지 청주 네오아트센터 3, 4관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70년대 단색화의 정신을 계승하여 90년대 ‘물성주의의 시대’를 연 작가가 ‘회화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 질문을 통해 도달한 최신 대형 추상 회화들을 선보이는 자리다. 세상의 소란함에서 벗어나 춘천의 폐교 작업실에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작가의 치열한 고백을 마주할 기회다. 최인선 작가는 1990년대, 한국 단색화의 정신을 이어받아 물질의 고유한 성질을 탐구하는 ‘물성주의’ 시대를 연 대표 작가로 미술계에 큰 주목을 받았다. 그의 작품 '겨울에 생산된 흰색'은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되며 이 시기 한국 미니멀 아트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이후 '색면의 시대'와 '시간적 입체주의'에 이
네오아트센터, 6월 18일(수) ~ 7월 13일(일) 1, 2관: 안말환 "숲으로의 초대" 3, 4관: 최인선 "회화의 고백" 1, 2관: 안말환 "숲으로의 초대" “가슴속 한 그루의 나무를 만나다” 안말환 작가 네오아트센터서 대규모 초대전 ‘숲으로의 초대“ 展 오는 18일부터 한 달간 돌가루로 빚어낸 독창적 ‘나무’ 연작으로 깊은 위로와 희망을 전해 누구나 마음속에 품고 있는 ‘한 그루의 나무’를 화폭으로 불러내 현대인에게 깊은 울림과 따스한 위안을 건네는 중견 화가 안말환의 대규모 초대전이 오는 6월 18일부터 7월 13일까지 청주 네오아트센터 1, 2관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40여 년에 걸쳐 구축된 작가의 예술 세계를 총망라하며, 그의 대표작인 ‘나무’ 연작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잊지 못할 성찰과 치유의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안말환 작가의 작품 세계를 관통하는 핵심은 지친 현대인을 향한 따뜻한 연민과 위로의 메시지다. 작가는 자신의 작품이 “혼돈 속에서 불안하고 지친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아무런 의심 없이 그 무거운 짐을 내려놓고 쉴 수 있는 신선한 숲, 그리고 세상에서 가장 크고 가장 깨끗한 당신의 호흡이 되고자 한다”고 말한다. 그의 나
청주 수암골에 위치한 네오아트센터가 오는 5월 14일부터 6월 15일까지 심병건, 이선희 두 작가의 ‘유연함의 영속성 (The Permanence of Flexibility)’이라는 주제로 전시를 선보인다. 두 작가는 서로 금속과 유리를 사용하고 그 자체로 시간의 흐름, 기억의 흔적, 형태의 변이를 시각화하는 재료로써 각각이 가진 물리적 특성에 따라 ‘유연함’의 의미를 확장하고 변형한다. 흐르고 굳어지는 유리와 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금속은 단순한 변화가 아니라, 그 속에서 생명력과 역사의 기억이 응축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1관과 3관에서 전시를 펼치는 심병건 작가는 강인한 금속판을 프레스 드로잉(Pressed Drawing)이라는 독창적인 기법으로 압력을 가하여, 가장 단단한 재료에서 가장 유연한 형상을 끌어냄으로써 금속 내부에 잠재된 유기적 곡선과 감각의 리듬을 끌어낸다. 이는 단단한 재료 속에서 피어나는 유연함의 흔적이자, 물질에 새겨진 시간의 압력이다. 또한 유리는 흐르고, 부풀고, 굳어진다. 그 과정은 찰나지만, 형상은 시간을 품은 채 영속된다. 오랜 시간이 흘러도 어떠한 외부 환경에도 변하지 않고 영구성을 유지하는 강함의 대명사인 스테인리스 스틸은
제27회 남송민화연구소 회원전 '행복한 민화' 한국공예관3층 2-3전시실에서 4월22일~4월27일 까지 개최한다. 남송(한영희)작가는 27회 오래동안 전시를 갖으면서 회원들이 실력을 쌓아 전시회때 작품에 임한다고 했다. 남송 작가는 공예를 전공한 중견 작가로서 공예와 민화의 만남을 소재로 작품화 하여 전시회에 보여 주고 있다. 이번 전시는 권순옥 외 26명의 작가들이 참여한다.
윤동주 순국80주기 기념전 2025. 4. 4. - 4. 18. (오픈닝:2025.4.4 pm5) 디휘테갤러리 위치 : 서울시 중구 마른내로 12길 7-11 김정배, 김태철, 송필용, 신철, 윤영화, 이용석, 이태량, 임진성, 조병완 (9명 작가 참여)